"고교학점제 컨설팅, 650만 원이면 가능?" – 교육 불평등의 또 다른 얼굴
"고교학점제 컨설팅, 650만 원이면 가능?" – 교육 불평등의 또 다른 얼굴 얼마 전, 강남의 한 입시학원에서 들려온 충격적인 이야기다. “어머님, 이제 고1 애들은 내신이 5등급제잖아요. 내신 1등급의 가치가 떨어졌어요. 그러니까 생기부(생활기록부) 관리가 더 중요해졌죠. 다른 학생들은 2월부터 컨설팅 시작했어요.” 이 말을 들은 학부모의 마음은 어땠을까? 늦었다는 불안감, 우리 아이만 뒤처지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 그리고 그 모든 감정을 해결해 줄 것처럼 보이는 한 학기 650만 원 이라는 가격표.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면서 학교와 학생, 학부모 모두가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 있다. 하지만 늘 그렇듯이, 새로운 교육 제도가 등장할 때마다 가장 먼저 움직이는 곳은 사교육 시장이다. 정보를 미끼로 학부모들의 불안을 부추기고, 비교과 관리라는 새로운 돈벌이 수단을 만들어낸다. "최적의 시기는 학기 시작 전입니다. 다른 학생들은 이미 다 준비했어요." 이 말 한마디에 수백만 원이 지출되는 현실. 교육이 돈의 문제가 되어야 할까? 고교학점제의 취지는 분명 좋다. 학생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 즉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학부모와 학생들은 변화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받지 못하고 있고, 많은 학교들이 제도에 맞춘 준비를 하지 못한 채 개학을 맞았다. 전국 60개 고교 중 15곳은 신입생 대상 고교학점제 안내조차 하지 않았으며, 학부모 안내조차 생략한 곳이 25곳에 달한다. 교육부는 "준비가 완료됐다"고 했지만, 현장 교사들은 “기준 미달 학생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말한다. 그 틈을 노리는 것이 바로 ‘고교학점제 컨설팅’이다. “1학년 때는 폭넓게 탐구한 경험이 있어야 하고, 2~3학년 때는 심화 과정으로 연결해야 해요.” “비교과 활동을 준비하지 않으면 대학 입시에서 밀려납니다.” 이런 말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