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lusion: Students, Once Again, Become the Subjects of an Experiment

 

College Admissions: Is "Academic Suitability" Now the Key Factor?




– A New Paradigm in Admissions Through an Interview with Oh-Hyun Kwon, Honorary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admissions in South Korea are not just a simple “test.” They are a complex battlefield where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 policies collide. With ever-changing admissions systems, the relentless pres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constant question of “What choice will be most advantageous for my child?” parents often feel like they have lost their guiding compass.

In the midst of this chaos, Oh-Hyun Kwon, the former head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s office, has proposed a new admissions strategy. His core message is simple:

"It’s not just about which subjects a student has taken, but how they have studied them."

As soon as I heard this, one question immediately came to mind:
"So what exactly should students be doing?"

Today, based on Professor Kwon’s interview, we will critically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new admissions trend.


1. Are Admissions Shifting from "Academic Performance" to "Academic Suitability"?

In the past, college admissions were simple: if you had good test scores, you got into a good university. However, today’s admissions system is shifting away from a focus solely on test scores and towards an evaluation of "academic suitability."

This means universities are changing how they assess students.

Past: Good grades were enough.
Present: Grades are still important, but how students learn and apply their knowledge matters more.

Now, it’s no longer just about being good at math, but rather:
What critical questions did you raise while studying math?
How did you apply what you learned?
Did you demonstrate self-directed learning?

This shift is largely driven by the expansion of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CSRS), an admissions method that evaluates how actively and independently a student has explored their academic interests throughout high school. Since test scores alone do not determine admissions, universities are placing greater emphasis on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process.

However, this shift could also increase uncertainty in college admissions.


2. Is "How You Learn" the Key Factor in Evaluation?

Professor Kwon emphasizes tha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etailed Learning & Special Talent Record (세특, “SeTeuk”) will become even more important. In other words, students need to actively demonstrate how they studied each subject, not just that they took the class.

But this raises a critical issue:
Can the evaluation of “how students learn” really be fair?

Currently, student records are written by teachers, meaning:
Subjectivity in teacher evaluations can influence student records.
The quality of student records varies between schools.
Even if two students put in the same effort, the way their records are written can lead to different evaluations.

Students in underprivileged schools face an even greater disadvantage.

  • If a school offers a limited selection of elective courses, students cannot adequately demonstrate their suitability for their intended major.
  • If teachers do not write detailed student records, students may struggle to stand out in the admissions process.
  • Without privat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optimize student records to fit admissions criteria.

Ultimately, the standard of evaluating “how students learn”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a fair competition.


3. The Dilemma Between "Major Suitability" and "GPA Management"

Regarding course selection, Professor Kwon advises students to balance major suitability and GPA management:

✔️ Humanities students: GPA is more important.
✔️ STEM students: Major suitability is more important.

However, the reality is far more complex:

✔️ Choosing courses aligned with one’s major can lower GPA, making admissions more difficult.
✔️ Choosing easier courses to maintain a high GPA can weaken major suitability.

Given this dilemma, most students will likely prioritize GPA over major suitability, as grades are still a fundamental evaluation factor in CSRS admissions.

This raises the question:
How should universities fairly evaluate students?
A more realistic solution is needed—one that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both major suitability and GPA in a balanced way.


4. H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ally Expanded Students' Choices?

Professor Kwon highlights tha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number of available courses has increased from 100 to 150.

But do all students actually have the freedom to choose their preferred courses?

✔️ Course availability varies by school.
✔️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popular and less popular courses.
✔️ Schools with smaller student populations offer fewer elective options.

This means that rather tha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ld actually widen educational disparities.

Universities claim they will evaluate "how students chose their courses," but in reality, many students do not have the luxury of making truly independent choices.


Conclusion: Students, Once Again, Become the Subjects of an Experiment

Professor Kwon’s interview clearly illustrates the direction of admissions changes:
✔️ A shift from academic performance to academic suitability.
✔️ Increased importance of student records.
✔️ The need for balance between major suitability and GPA management.

However, these changes could increase uncertainty in the admissions process:

  • Can the evaluation of "how students learn" truly be fair?
  • Will dispariti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lead to disadvantages for certain students?
  • How can the conflict between major suitability and GPA management be resolved?

Universities must reconsider how to ensure fair admissions evaluations.

Students should not feel compelled to rely on private education just to create a “better” student record. Instead, the system should genuinely evaluate the learning process and academic growth of each student.

In the end, the essence of admissions remains unchanged.

As long as competition exists, students will always seek the most advantageous strategies. Whether these new changes create opportunities or place additional burdens on students remains to be seen.

But one thing is certain:

"Admissions policies keep changing, but students are always the ones being experimented on."




대학입시, 이제는 '학업적합도'가 핵심?

– 권오현 서울대 명예교수 인터뷰를 통해 본 입시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민국에서 대학입시는 단순한 ‘시험’이 아니라 학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교육 정책이 뒤엉킨 복잡한 전쟁터다. 매년 바뀌는 대입제도,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사교육, 그리고 ‘어떤 선택이 내 아이에게 가장 유리할까?’라는 끝없는 고민 속에서 학부모들은 입시의 나침반을 잃어버린 느낌일 것이다.

그런 가운데, 서울대 입학본부를 이끌었던 권오현 명예교수가 새로운 대입 전략을 제시했다. 그의 핵심 메시지는 간단하다.

"어떤 과목을 들었느냐보다, 그 과목을 어떻게 학습했느냐가 중요하다."

이 말을 듣자마자 나는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그래서 도대체 학생들은 뭘 해야 한다는 거지?"

오늘은 권 교수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새로운 입시 기조가 갖는 의미와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려 한다.


1. 입시는 '학업 성적'에서 '학업적합도'로?

과거 입시는 단순했다. 수능 성적이 좋으면 좋은 대학을 갔다. 하지만 최근 입시는 시험 점수보다 '학업적합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즉, 대학이 학생을 평가하는 기준이 달라졌다.

과거: 성적이 좋으면 됨.

현재: 성적도 중요하지만, 학생이 그 과목을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활용했는지가 더 중요함.

이제는 단순히 ‘수학을 잘한다’가 아니라,

✅ 수학을 배우면서 어떤 문제의식을 가졌는가?

✅ 배운 내용을 어떻게 응용했는가?

✅ 학습 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이 있었는가?

이런 요소들이 평가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런 변화의 배경에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확대가 있다. 학종은 학생이 고교 생활 동안 얼마나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탐구했는지를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순히 시험 성적만으로 변별력을 가질 수 없는 구조다.

그러나 이 변화는 대학 입시의 불확실성을 더욱 키울 위험이 있다.


2. ‘어떻게 학습했는가?’가 평가의 핵심?

권 교수는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학생들이 단순히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그 과목을 어떻게 학습했는지를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대목에서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어떻게 학습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정말 공정할까?


현재 학생부 기록은 교사가 작성하는데,

✅ 교사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고,

✅ 학교에 따라 학생부 작성 방식이 다르며,

✅ 같은 노력을 해도 기록 방식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위험이 있다.


특히 교육 환경이 열악한 학교의 학생들은 불리할 수밖에 없다.

선택과목 개설이 제한적인 학교에서는 ‘전공적합성’을 보여줄 수 없다.

세특을 충실하게 기록해주는 교사가 있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의 격차가 크다.

사교육 없이 학생부를 ‘완벽하게’ 채우기 어려운 현실이다.

결국, ‘어떻게 학습했는가?’라는 기준 자체가 공정한 경쟁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3. ‘전공적합성 vs 내신 관리’ 딜레마

과목 선택과 관련해 권 교수는 ‘전공적합성’과 ‘내신 성적’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인문계열은 내신 성적이 더 중요

자연계열은 전공적합성이 중요

그런데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 전공적합성을 고려해 어려운 과목을 선택하면, 내신 성적이 낮아진다.

✔️ 내신 성적을 위해 쉬운 과목을 선택하면, 전공적합성이 떨어진다.


이런 딜레마 속에서 많은 학생들은 전공적합성을 포기하고 내신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학종에서도 내신 성적이 기본 평가 요소이기 때문이다.

즉, 대학이 ‘전공적합성’을 강조하면서도 ‘내신 성적’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여전히 내신을 더 신경 쓸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대학은 어떤 기준으로 학생들을 평가해야 할까?

전공적합성을 고려하면서도 내신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4. 고교학점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고?

권 교수는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 수가 100개에서 150개로 증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모든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을까?

✔️ 학교에 따라 개설되는 과목이 제한적이다.

✔️ 인기 과목과 비인기 과목 간의 차이가 크다.

✔️ 학생 수가 적은 학교는 과목 선택권이 더 줄어든다.

즉, 고교학점제가 오히려 학교별 교육 격차를 키울 가능성이 있다.

대학은 ‘이 학생이 과목을 어떻게 선택했는가?’를 평가하겠지만, 실제로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결론: 또다시 실험대상이 되는 학생들

권 교수의 인터뷰는 입시 변화의 방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 ‘학업 성적’에서 ‘학업적합도’로 평가 방식 변화

✔️ 학생부 기록의 중요성 증가

✔️ 전공적합성과 내신 관리의 균형 필요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입시의 불확실성을 더욱 키울 위험이 있다.

‘어떻게 학습했는가?’라는 평가 기준이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가?

학교별 교육 환경 차이로 인해 불리한 학생들이 생기지 않을까?

전공적합성과 내신 관리의 딜레마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대학은 입시에서 ‘공정한 평가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학생들이 단순히 ‘좋은 기록’을 만들기 위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도록,

진짜로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이 평가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결국, 입시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경쟁이 존재하는 한, 학생들은 어떻게든 유리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번 변화가 학생들에게 기회가 될지, 새로운 부담이 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문제다.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입시는 계속 바뀌지만, 결국 학생들이 그 실험의 대상이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 중·고등학생에게 꼭 필요한 성공 습관! 그러나 진짜 성공이란?

고등학교 가면 뭐부터 해야 할까?" – 진로·진학 로드맵 완벽 분석!

수학 단원별 세특 작성법 – 심화 사례 중심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