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쓰는 생활기록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AI가 쓰는 생활기록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2월, 학생들의 생활기록부 마감 기간이 다가오면 교사들은 정신없는 시간을 보낸다. 한 줄 한 줄 신경 써야 할 학생부 기록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해, 교사들의 모습이 사뭇 달라졌다. ‘챗GPT’가 생활기록부 작성을 돕고 있기 때문이다. 단 몇 초 만에 500자 분량의 평가가 생성되고, 교사들은 이를 참고하여 학생부를 정리한다. 바쁜 교사들에게는 단비 같은 존재지만, 과연 이 변화가 학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생활기록부, AI의 손에서 만들어지다 챗GPT를 이용한 학생부 작성이 낯선 이야기는 아니다. 서울교육청 조사에 따르면 2년 전만 해도 교사 10명 중 절반이 AI를 활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올해는 ‘거의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다는 게 현실이다. 교사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한 달이 걸릴 일을 단 며칠 만에 끝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사실 학생들이 수행한 활동을 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이므로, ‘없는 이야기를 지어낸다’는 비판은 다소 과장된 면이 있다. 하지만 AI가 제공하는 문장이 지나치게 일반적이거나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면, 이는 새로운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AI가 평가하는 학생, 괜찮을까? 학생부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다. 대학 입학 사정관들은 학생부를 보고 지원자의 학업 태도, 인성과 성장 가능성을 판단한다. 하지만 AI가 작성한 학생부는 ‘개성’이 결여될 위험이 크다. AI는 정해진 패턴 안에서 문장을 조합할 뿐, 학생이 가진 고유한 경험과 가치관을 섬세하게 담아내기는 어렵다. 서울의 한 학부모는 “선생님이 아니라 AI가 우리 아이를 평가하는 거라면, 그건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 대학 입학사정관은 “AI가 작성한 학생부를 구별할 방법이 없다”라며, 공정한 평가가 더 어려워졌다고 털어놨다. AI가 불러올 부작용, 학생들에게 불리할 수도 있다? AI가 학생부를 작성하면서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