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서울대인 게시물 표시

서울대의 새로운 변화, 입시의 패러다임을 흔들다

이미지
서울대의 새로운 변화, 입시의 패러다임을 흔들다 "서울대, 신입생 출신학교·지역 공개 안 한다" 그날 아침, 사교육 시장은 작은 지진을 맞았다. 서울대가 신입생의 출신 고교와 지역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교육업계가 그토록 애타게 기다리던 '서울대 합격자 배출 순위표'는 이제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이제 서울대에 몇 명 갔냐는 질문은 그만둘 때가 됐다." 2022년, 중동고 교장이 학부모들에게 보낸 편지 속 이 문장은 이제 현실이 되고 있다. 그는 "학교는 사람을 교육하는 곳이지, 입학 성적으로 평가받는 학원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그저 이상적인 이야기로 여겨졌다. 여전히 입시 업계에서는 서울대 진학률을 근거로 학교의 서열을 매기고, 이는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서울대는 마침내 칼을 빼 들었다. 작년부터 합격자의 출신고 정보를 삭제하고 시군구별 합격자 수만 공개하더니, 올해는 아예 출신 지역도 비공개로 전환했다. "이게 대체 무슨 의미일까?" 입시 시장의 큰 변화, 그 의도는? 이 결정은 단순한 숫자 하나를 없애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지금까지 서울대 합격자 수는 전국 고교의 암묵적인 서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학원가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서울대 몇 명 보냈다"는 문구로 학생들을 끌어모았고, 학부모들은 '입시 명문고'를 찾아 이사를 감행하기도 했다. 서울대의 새로운 방침은 이러한 입시 과열 경쟁을 완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고교 서열화’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그러나 사교육 시장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학원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취합해 합격자를 분석하고 있으며, 지역 교육청조차 "서울대 합격자 수 증가"를 홍보하는 상황이다. "서울대가 정보를...

수행평가의 대변신? 진짜 '내실화'될까, 그냥 혼란일까?

이미지
수행평가의 대변신? 진짜 '내실화'될까, 그냥 혼란일까? "고1 수행평가, 이제 다 바뀐다?" 2025학년도부터 수행평가의 기준과 기재 방식 이 변화한다. 사전 공지된 암기형 수행평가는 불가능 , 수업 중 평가 원칙 , 과제형 수행평가 금지 등, 새로운 규정이 적용되면서 학교 현장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변화는 학생들에게 유리한 것일까? 아니면 더 큰 혼란을 초래할까? 서울대가 2028년 도입하겠다는 '종합역량평가'와 수행평가 내실화 까지 연결해보면, "단순한 평가 방식 변화가 아니라 입시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신호가 보인다. 📌 수행평가, 이제 어떻게 바뀌나? 1️⃣ ‘과제형 수행평가’ 전면 금지! 이제 가정에서 진행하는 수행평가는 원칙적으로 불가능 하다. 즉, 집에서 미리 준비해야 하는 암기형 수행평가도 금지 ! 예를 들어, 사전 공지된 영어 단어시험 → 수행평가로 불가능 사전 공지된 쪽지시험 → 수행평가로 불가능 모둠 과제도 개별 역할 평가 필수 📢 POINT: 이제 수행평가는 '사전 준비 없이', '학교 수업 시간 내에서만' 진행된다! 💡 의문점: 그런데, 수업 중 짧은 시간 안에 깊이 있는 평가가 가능할까? 2️⃣ 수행평가의 비중과 영역이 학생부에 기록된다! 2025년부터는 학생부에 수행평가의 비중, 영역명, 성취도별 점수 가 기록된다. 즉, 단순히 "수행평가를 했다"가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평가받았는지가 대학에 제공된다. 📢 POINT: 대학이 수행평가의 ‘형식’까지 보게 된다면, 단순 점수 싸움이 아니라 ‘평가 방식’도 차별화될 가능성이 크다. 💡 의문점: 수행평가 방식이 학교별로 다르면, 학생들 간의 공정성은 어떻게 유지될까? 📌 서울대의 2028학년도 종합역량평가, 수행평가 중심? 서울대가 2028학년도부터 종합역량평가 ...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 성적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미지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 성적만으로는 부족하다?! 서울대학교 입학처에서 발표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서류평가 가이드 를 살펴보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성적만 좋으면 합격한다"는 공식이 통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서울대는 학생을 어떻게 평가할까? 누구나 알고 있지만, 제대로 준비하지 않는 '서류평가'의 핵심 전략 을 정리해보자. 📌 서울대의 서류평가, 도대체 뭐가 중요할까? 서울대 학종 서류평가는 단순히 "내신 등급"이나 "수능 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는다. 대학 측이 직접 밝힌 서류평가의 핵심 요소 는 크게 세 가지다. ① 학업역량: 단순 성적이 아니라 ‘배움의 태도’가 중요하다! "이 학생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진짜 깊이 있는 사고를 할 수 있을까? " "어려운 과목을 도전적으로 선택하고 끝까지 해냈을까?"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토론하는 학습 태도를 가졌을까?" 📢 POINT: 내신 성적이 전부가 아니다. 성적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탐구하고 노력한 과정이 서류에 드러나야 한다! ② 학업태도: ‘공부머리’보다 ‘공부습관’이 더 중요하다! 서울대는 성적만 보고 학생을 뽑지 않는다. 오히려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탐구하는 태도 를 중시한다. 📢 EXAMPLE: ❌ "나는 1등급을 유지했어!" → 성적만 강조하면 별 의미가 없다. ✅ "고급 수학을 선택하고, 어려운 개념을 스스로 정리해 친구들과 공유했다." → 학업태도를 보여주는 문장! 📢 POINT: 공부를 잘하는 건 기본! 어떻게 공부했는지, 어떤 태도로 탐구했는지가 핵심. ③ 학업 외 소양: ‘공부만 하는 학생’은 NO! 서울대 학종에서는 인성과 공동체 의식, 협업 능력, 리더십 까지 평가한다. 즉, "나는 공부만 ...

Is the Era of Medical School Dominance Coming to an End? – 2025 CSAT Perfect Scorers’ Choices

이미지
  Is the Era of Medical School Dominance Coming to an End? – 2025 CSAT Perfect Scorers’ Choices ✅ Seoul National University vs. Medical School – The Best Choice? Every year, when CSAT perfect scorers are announced, the biggest question that follows is: ➡️ "Which university will they choose?" For years,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as almost always the same: ➡️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Medical School!" However, 2025 marks a shift in this trend. The once unquestionable dominance of medical schools is starting to crack. 🎯 Unprecedented Shift Towards SNU General Departments Out of 11 perfect scorers in the 2025 CSAT, four students chose SNU but not its medical school. To understand how unusual this is, we need to examine past trends. 📌 Previous Trends of Medical School Dominance Among Top CSAT Scorers 2023: All three perfect scorers chose SNU Medical School. 2021-2022: All natural science perfect scorers, who met the requirements, enrolled in ...

입시의 판도를 뒤흔드는 무전공 학부, 그 속의 현실과 모순

이미지
  입시의 판도를 뒤흔드는 무전공 학부, 그 속의 현실과 모순 2026학년도를 맞이하며, 대학 입시의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바로 ‘무전공 학부’의 등장입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모두 이 흐름을 타고 있으며, 연세대는 최근 ‘진리자유학부’라는 이름으로 262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언뜻 보면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고 학생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주는 혁신적인 시도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실적인 문제들은 간과하기 어렵습니다. 1. 무전공 학부, 정말 학생들에게 자유를 줄까? 무전공 학부라는 개념은 학생들이 특정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한 후, 다양한 학문을 탐색한 뒤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자유’가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유일까요? 일단 현실적으로 대학 내 인기 학과들은 인원이 제한되어 있으며, 경쟁이 치열합니다. 결국,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조건 안에서 전공을 배정받는 구조 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 자유전공학부에서 법대를 진학할 수 있을까요? 고려대 학부대학에서 경영학과로 전과가 쉬울까요? ‘무전공 학부’라는 이름이 주는 기대감과 실제 운영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면, 이 제도가 단순히 대학의 ‘마케팅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 대학의 전략? 학생들의 미래? 최근 몇 년간 교육부는 대학의 정원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방향을 강조해 왔습니다. 무전공 학부 도입도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보이는데, 실제로는 대학 입장에서의 입결 관리 수단 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정시에서 인기 학과들은 높은 성적이 필요하지만, 무전공 학부로 입학하면 비교적 낮은 성적으로도 입학 후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 경쟁률이 치솟을 것입니다. 그러나 정작 입학 후 인기 학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전공 선택권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의 입결...

Conclusion: Students, Once Again, Become the Subjects of an Experiment

이미지
  College Admissions: Is "Academic Suitability" Now the Key Factor? – A New Paradigm in Admissions Through an Interview with Oh-Hyun Kwon, Honorary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admissions in South Korea are not just a simple “test.” They are a complex battlefield where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 policies collide. With ever-changing admissions systems, the relentless pres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constant question of “What choice will be most advantageous for my child?” parents often feel like they have lost their guiding compass. In the midst of this chaos, Oh-Hyun Kwon, the former head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s office, has proposed a new admissions strategy. His core message is simple: "It’s not just about which subjects a student has taken, but how they have studied them." As soon as I heard this, one question immediately came to mind: "So what exactly should students be doing?" Today,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