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정말 ‘혁신’일까? 아니면 ‘혼란’일까?
고교학점제, 정말 ‘혁신’일까? 아니면 ‘혼란’일까? 올해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가 도입된다. 이제 고등학생들은 대학생처럼 직접 과목을 선택하고 시간표를 짜야 한다. 진로에 맞춰 수업을 듣고, 3년 동안 192학점을 채워야 졸업이 가능하다. 처음 들으면 꽤나 멋진 제도 같다. ✅ 문·이과 구분 없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 학교에 없는 과목은 다른 학교에서 듣거나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다! ✅ 학생들이 ‘주체적 학습’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막상 현실을 들여다보면? ✅ 학생도, 교사도, 학부모도 혼란스럽다! ✅ 지역과 학교 규모에 따라 교육 격차가 심해진다! ✅ 수능과 내신은 그대로인데, 학생들은 원하는 과목을 듣기 어렵다! 이쯤 되면 묻게 된다. 고교학점제, 정말 학생들을 위한 제도일까? 아니면 새로운 실험 대상일까? 고교학점제, 진짜로 ‘자율성’을 보장할까? 고교학점제 설명회에 참석한 예비 고1 학생들의 반응을 보자. "어떤 과목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시간표를 내가 직접 짜야 한다는데, 이걸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데, 막상 선택해야 할 시점이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진다. 게다가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하는 것도 학교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 학교마다 개설 과목이 다르다! ✔️ 선생님이 부족하면, 듣고 싶은 과목도 못 듣는다! ✔️ 결국, 수능 위주로 과목을 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급 수가 10개인 학교는 76개 과목을 개설하지만, 학급 수가 4개인 학교는 30개 과목만 개설한다. 그러니 결국 규모가 큰 학교일수록 학생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진다. 이제 고등학교도 ‘돈 있고 인프라 좋은 학교’가 유리해지는 시대가 오는 걸까? 이게 진정한 ‘자율성’인가? 아니면, 새로운 형태의 교육 불평등인가? 학생들이 ‘진짜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