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혁신인 게시물 표시

서울여대의 파격적인 변화: 수험생을 위한 혁신인가, 혼란인가?

이미지
서울여대의 파격적인 변화: 수험생을 위한 혁신인가, 혼란인가? 서울여대가 2025학년도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 를 전격 공개했다. ‘인서울 대학’ 중 가장 빠르게, 그것도 무려 3주나 앞서서 말이다.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반가운 소식일까? 아니면 또 다른 부담의 시작일까? 서울여대의 빠른 공개, 그 속내는? 매년 3월 말까지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이 보고서를 서울여대는 무려 3년째 조기 발표하고 있다. “수험생 친화적”이라는 미명하에 속전속결 전략을 펼치는 모습이다. 이런 신속한 대응은 수험생들에게 미리 대비할 시간을 주는 이점도 있지만, 과연 대학이 강조하는 "수험생 친화적"이라는 말이 진정으로 그들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든다. 특히, 자연계열 논술이 과학논술에서 수리논술로 변경 된 점이 눈에 띈다. 과학을 준비하던 학생들은 난감할 수밖에 없다. 이 전환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격차가 생길 가능성은 없는가? 논술의 변화, 수험생의 혼란 서울여대는 논술전형에서 기존에 실시하던 과학논술을 폐지 하고, 2026학년도부터 수리논술 로 대체한다고 발표했다. 올해 자연계열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지난해 기출 문제를 참고할 수 없다. 대신 지난해 12월 공개된 예시 문항과 오는 6월 공개될 모의논술 문제 를 참고해야 한다. 이제 와서 과학논술을 준비하던 학생들이 “아, 수학을 다시 봐야 해?”라는 부담을 안고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 문제는 이 변화가 대입을 단순화하고 공정성을 높이는 방향인지, 아니면 특정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변화인지 에 대한 의문이다. 수능최저 폐지, 누구에게 유리한가? 눈여겨볼 또 다른 변화는 논술우수자 전형에서 수능최저를 폐지 한 것이다. 수능 점수가 낮더라도 논술 실력만으로 합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는 논술을 준비해온 학생들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반대로 논술 실력이 부족한 학...

고교학점제, 정말 ‘혁신’일까? 아니면 ‘혼란’일까?

이미지
고교학점제, 정말 ‘혁신’일까? 아니면 ‘혼란’일까? 올해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가 도입된다. 이제 고등학생들은 대학생처럼 직접 과목을 선택하고 시간표를 짜야 한다. 진로에 맞춰 수업을 듣고, 3년 동안 192학점을 채워야 졸업이 가능하다. 처음 들으면 꽤나 멋진 제도 같다. ✅ 문·이과 구분 없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 우리 학교에 없는 과목은 다른 학교에서 듣거나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다! ✅ 학생들이 ‘주체적 학습’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막상 현실을 들여다보면? ✅ 학생도, 교사도, 학부모도 혼란스럽다! ✅ 지역과 학교 규모에 따라 교육 격차가 심해진다! ✅ 수능과 내신은 그대로인데, 학생들은 원하는 과목을 듣기 어렵다! 이쯤 되면 묻게 된다. 고교학점제, 정말 학생들을 위한 제도일까? 아니면 새로운 실험 대상일까? 고교학점제, 진짜로 ‘자율성’을 보장할까? 고교학점제 설명회에 참석한 예비 고1 학생들의 반응을 보자. "어떤 과목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시간표를 내가 직접 짜야 한다는데, 이걸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데, 막상 선택해야 할 시점이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진다. 게다가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하는 것도 학교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 학교마다 개설 과목이 다르다! ✔️ 선생님이 부족하면, 듣고 싶은 과목도 못 듣는다! ✔️ 결국, 수능 위주로 과목을 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급 수가 10개인 학교는 76개 과목을 개설하지만, 학급 수가 4개인 학교는 30개 과목만 개설한다. 그러니 결국 규모가 큰 학교일수록 학생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진다. 이제 고등학교도 ‘돈 있고 인프라 좋은 학교’가 유리해지는 시대가 오는 걸까? 이게 진정한 ‘자율성’인가? 아니면, 새로운 형태의 교육 불평등인가? 학생들이 ‘진짜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