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고1 생활기록부 대격변! 새로운 성적 관리 시스템, 이대로 괜찮을까?

2026학년도 고1 생활기록부 대격변! 새로운 성적 관리 시스템, 이대로 괜찮을까? 2026학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성적 관리 방식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작성 규정이 변화하면서, 학생·학부모·교사 모두 적응해야 할 과제가 생겼습니다. 이제 표준편차가 사라지고, 모든 과목에서 성취도별 비율이 표기됩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수업, 수업량 유연화 등의 변화도 필수적으로 따라오죠. 그렇다면 이번 개편이 정말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향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부작용을 불러올까요? 1. 표준편차 없는 성적 평가, 변별력 유지될까? 가장 큰 변화는 표준편차가 기록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대신 성취도별 비율(A, B, C, D, E)이 전 과목에 걸쳐 표기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장점: 학생 간 성적 격차가 크지 않아 보이게 되고, 과목별 난이도에 따른 불이익을 줄일 수 있다. 단점: 난이도가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를 동일 선상에서 평가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A학교에서는 80점이 A등급을 받을 수 있지만, B학교에서는 95점이 되어야 A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이 볼 때는 "둘 다 A등급이네?" 라고만 보일 뿐입니다. 즉, 표준편차가 없어지면서 학교별 난이도 차이를 감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성적을 비교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이 큽니다. 이렇게 되면 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수행평가 비중이 높은 학교의 학생이 더 유리한 상황 이 될 수도 있죠. 결국, 대학 입장에서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특 기록을 더욱 중요하게 볼 가능성이 커질 것입니다. 2. 수행평가 비중 증가, 성적 부풀리기 가능할까? 새로운 성적 기재 방식에서는 성취도별 비율(A, B, C, D, E)로 학생들의 수준을 평가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습니다. E(40% 미달) 등급을 받으면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