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서울시립대인 게시물 표시

2026 대입 개편, 변화인가 혼란인가?

이미지
2026 대입 개편, 변화인가 혼란인가? 대입이 또 바뀌었다. 2026학년도부터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단국대(천안) 등 여러 대학이 입시 전형을 조정한다. 수능 최저 완화, 면접 폐지, 무전공 확대 등 온갖 변화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수험생들은 ‘이게 기회인가? 아니면 더 어려워지는 건가?’라는 고민에 빠졌다. 하지만 교육 정책이 바뀔 때마다 결국 피해를 보는 건 학생들이었다. 이번 개편이 ‘기회의 확장’이 될지, 또 하나의 ‘복잡한 룰 만들기’가 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 고려대 – 수능 최저 완화, 기회일까 함정일까? 고려대는 이번 개편에서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 했다. 기존에는 탐구 두 과목 평균을 반영했지만, 이제 한 과목만 반영한다. 또한 경영대 논술전형은 최저 기준이 4개 영역 합 5에서 8로 완화 되었다. 언뜻 보면 학생들에게 유리해진 듯하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해볼 점이 있다. 경쟁률 상승 수능 최저가 낮아지면 더 많은 학생이 지원할 수 있다. 논술 전형은 특히 경쟁이 치열한데, 최저가 낮아지면서 ‘지원만 해보는’ 학생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실질적인 합격선은 더 올라갈 수도 있다. 정시 자연계열 – 사회탐구 선택 가능 기존에는 자연계열 학생들이 과학탐구를 선택해야 했지만, 2026학년도부터는 사회탐구를 선택해도 된다. 단, 과학탐구 응시자는 변환표준점수에서 3%의 가산점을 받는다. 그렇다면 여기서 또 질문이 생긴다. ‘3%가 유의미한 차이일까?’라는 것이다. 수학(미적분, 기하)과 과학을 버리고 국어+사회로 정시 자연계열을 준비하는 학생이 생길지도 모른다. 결론? 수능 최저가 완화되면서 기회는 늘어났지만, 실질 경쟁률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자연계열에서 사회탐구 응시 가능성이 열린 것도 변수가 될 것이다. 성균관대 – 전형 구조 복잡해지나? 성균관대는 수시에서 논술을 언어형과 수리형으로 나누고 , 학생부종합전형(탐구형)의 면접을 폐지했다. 대신 면접형-성균인재전형 을 신설했다. 면접 폐지는 ...

2026학년도 수도권 대학 입시 변화, 이게 최선입니까? – 서울시립대·중앙대 편

이미지
2026학년도 수도권 대학 입시 변화, 이게 최선입니까? – 서울시립대·중앙대 편 대입 변화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올해는 또 뭐가 바뀌었지?" 하며 혼란에 빠진다. 2026학년도에도 수도권 주요 대학의 입시 정책이 대거 수정되었는데, 특히 서울시립대와 중앙대 의 변화를 보면, 수험생들의 부담이 줄어든 것인지, 아니면 더욱 꼬인 것인지 헷갈릴 정도다. 이번 내용에서는 서울시립대와 중앙대의 2026학년도 대입 변경 사항을 낱낱이 파헤쳐 보고 , 이러한 변화가 과연 수험생들에게 득이 될지, 독이 될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서울시립대, 수능 최저 완화? 그런데... 서울시립대의 가장 큰 변화는 학생부위주전형(교과·지역균형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 한 것이다. ▶ 기존: 국·수·영·탐(1과목) 중 3개 영역 합 7등급 이내 ▶ 변경: 국·수·영·탐(1과목) 중 3개 영역 합 8등급 이내 + 한국사 4등급 이내 언뜻 보면 문턱이 낮아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합 7 → 합 8"의 차이가 얼마나 큰 변화를 불러올지는 미지수다. 한국사 4등급이라는 기준도 추가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학업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이 합격할 가능성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게다가 교과 전형 평가 방식도 바뀐다. ▶ 기존: 학생부 교과 100% ▶ 변경: 학생부 교과 90% + 교과 정성평가 10% 이게 과연 완화일까? 교과 정성평가(학업성취도·전공 관련 교과 이수·학습 태도 등)가 추가되면서, 내신만으로 평가받던 방식이 달라졌다. 즉, 단순히 성적이 좋은 학생이 아니라 "어떤 과목을 어떻게 공부했는지"까지 평가 받는다는 의미다. 이는 내신이 높은 학생도 안심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그리고 논술 전형의 비율이 논술 70% + 학생부 30% → 논술 80% + 학생부 20%로 변경되었다. 즉, 논술 실력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논술을 잘 준비하는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