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아이가 학원 간다? – 한국 영유아 사교육의 현주소
5세 아이가 학원 간다? – 한국 영유아 사교육의 현주소 엄마, 난 언제부터 학원 다녔어?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여섯 살 난 조카가 내게 물었다. "삼촌, 난 언제부터 학원 다녔어?" 나는 웃으며 "글쎄, 네가 어릴 때부터 다니긴 했지."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조카는 고개를 갸웃하며 말했다. "난 학원이 너무 좋아! 친구들도 많고, 선생님도 재미있어." 나는 순간, 이게 과연 좋은 일인지 씁쓸한 미소를 지었다. 최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한국의 영유아 사교육 시장에 대한 보도를 내놨다. "5세 아이가 학원(Hagwon)에 간다"는 제목만으로도 한국 사회의 치열한 교육 현실이 전 세계적으로 충격을 주고 있다. 5세부터 입시 전쟁? 사교육이 만든 기적과 함정 FT는 한국의 6세 미만 영유아 중 47.6%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는 한국 교육 당국의 통계를 인용하며, "이 광풍이 저출산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금 한국에서는 명문대 입시를 넘어, 영유아를 위한 영어 유치원 입학을 준비하는 ‘4세 고시’, ‘7세 고시’라는 말이 유행한다. 어떤 부모들은 "우리 아이는 남들보다 뒤처지면 안 돼!"라며 영어 유치원 레벨 테스트를 준비시키고, 심지어 아이가 학원에 가기 위해 인터뷰를 보러 다녀야 하는 세상이 되었다. 이쯤 되면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 이게 정상인가? FT는 한국의 부모들이 "최고의 대학, 그리고 몇 안 되는 대기업의 고소득 일자리"를 향한 경쟁에서 아이들이 살아남기 위해 학원에 의존한다고 분석했다. 즉, 교육이 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경쟁에서의 승리"를 위한 도구로 변질되고 있는 것이다. 사교육비 부담이 출산율을 낮춘다? FT는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을 짚었다. 바로 한국의 사교육비 부담이 젊은 층의 출산 기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