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2025학생부인 게시물 표시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이대로 괜찮을까?

이미지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이대로 괜찮을까? "공동교육과정 과목을 이수해도 석차등급은 없다?" 고등학교 교육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학교마다 개설하는 과목이 다르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이나 특정 학교에서만 개설하는 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이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 기재요령을 보면 이런 변화가 대학 입시에 실질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 특히, 공동교육과정 및 온라인학교 개설 과목의 석차등급이 기재되지 않는다 는 점이 눈길을 끈다. 학생이 해당 과목에서 뛰어난 성취를 거두더라도, 대학 입학사정관이 이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미지수다. 학생의 선택이 입시에 미치는 영향, 과연 공정한가? 2025학년도 학생부 기재요령을 살펴보면, 고등학교 성적 산출 방식이 상당히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성적은 ‘교과’, ‘과목’, ‘학점’, ‘원점수/과목평균’, ‘성취도’, ‘성취도별 분포비율’, ‘석차등급’, ‘수강자수’ 등의 요소로 기록된다. 그런데 예외가 있다. 다음과 같은 과목들은 석차등급 없이 기록된다. ✅ 사회·과학 융합 선택 과목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금융과 경제생활 등 ✅ 체육·예술 교과 과목 ✅ 공통과목인 과학탐구실험 ✅ 교양 과목 이러한 과목들은 성취도(예: A, B, C)만 입력되고 석차등급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게 왜 중요할까? 1️⃣ 공동교육과정 과목을 선택하면 손해일 수도?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개설되지 않은 과목을 배우기 위해 공동교육과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수한 과목에 석차등급이 기재되지 않으면 대학 입시에서 어떻게 평가될지 애매해진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사회문제 탐구’ 과목을 선택해 심도 있는 연구를 했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대학은 해당 과목의 석차등급을 확인할 수 없다. 반면, 다른 학생이 학교에서 개설된 ‘경제’ 과목을 수강했다면 석차등급이 매겨진다. 결국 같은 노력을 해도 평가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