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 대입 개편: 학종 확대 vs 정시 완화, 과연 누구를 위한 개편인가?
2028 대입 개편: 학종 확대 vs 정시 완화, 과연 누구를 위한 개편인가? 한국 대입제도는 정치적, 사회적 변화 속에서 끊임없이 요동친다.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SKY 중심 학종 확대’와 ‘정시 40% 완화’라는 키워드가 주목받고 있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정시 확대의 부조화를 해결하고자 대학별 전형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닌, 대입 판도를 뒤흔드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2028 대입 개편의 핵심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가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더 나아가 대입제도가 근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접근해 보겠다. 1. 2028 대입 개편의 핵심: 학종 확대와 정시 완화 교육부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사업(이하 기여대학사업)’을 통해 대학들이 대입 전형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이번 개편안에서 ‘자율공모사업’을 신설하여 ‘전형 운영 개선’을 추진하는 대학들에게는 정시 40% 비율을 완화할 기회를 제공했다. ① 학종 확대 가능성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들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를 원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학종은 대학이 원하는 인재를 선발하는 데 유리한 전형이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고교학점제를 반영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인정하고, 정량 평가보다 ‘정성 평가’를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 한다. 하지만 학종은 사교육 개입이 심하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금수저 전형’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불투명한 평가 기준과 교사 추천서, 자기소개서 등의 영향력을 우려한다. ② 정시 40% 완화 현재 서울 주요 대학들은 정시 40% 이상을 유지해야 하지만, 이번 개편안에서 일부 대학들은 정시 비율을 30%까지 낮출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이는 대학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옵션이다. 대학들은 정시의 문제점으로 재수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