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학령인구감소인 게시물 표시

고3이 줄어도 의대 합격선은 오른다?

이미지
고3이 줄어도 의대 합격선은 오른다? "우리가 줄어든다고, 경쟁이 줄어드는 건 아니었다." 1. 학생 수는 줄어드는데, 왜 우리는 더 힘들어지는 걸까? 고3 학생 수는 줄었다. 2022학년도에는 44만6573명이었지만, 2024학년도에는 39만4940명으로 5만 명 넘게 줄었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경쟁률도 낮아지고, 대학 입시가 조금은 쉬워져야 할 것 같은데… 의대 입시는 정반대다. 의대 합격선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수시 내신 기준으로 2022학년도 1.26등급에서 2024학년도 1.19등급으로 올랐다. 서울권은 1.09에서 1.03까지, 경인권도 1.13에서 1.05까지 떨어졌다. 이쯤 되면, 학생 수가 줄어든 게 대체 누구한테 유리했던 거냐는 의문이 생긴다. 줄어드는 건 학생 수뿐, 합격은 여전히 한 줌의 사람들에게만 허락되는 잔인한 싸움이다. 2. 의대 입시의 아이러니 – "의사는 많아져야 하지만, 자리는 부족하다" 의대 정원 확대는 수년째 논의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여전히 의대는 "철옹성" 같은 존재다. 학생들은 불안하다. 정원이 늘어나도 합격이 쉬워질 것이란 보장은 없다. 오히려 의대 입시가 더욱 과열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 아니면 기회가 없다”는 심리가 작용하면서, 더 많은 학생들이 몰릴 것이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모순인가? 의사는 더 필요하다고 하면서, 정작 의대에 가는 길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 그 결과, 지원자들은 상위권 내신과 백분위를 찍어야만 겨우 ‘경쟁의 장’에 설 수 있다. 합격하는 사람보다 포기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입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다른 길”을 생각할 겨를조차 없다. 입시판은 여전히 "의대 아니면 답이 없다"는 기류 속에서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3. "입시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