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런" 열풍, 과연 전략적 선택일까?
"사탐런" 열풍, 과연 전략적 선택일까? 최근 입시판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키워드가 있다. 바로 '사탐런' . 이는 자연계열 지원자들이 원래라면 선택해야 할 과학탐구(과탐) 대신, 상대적으로 쉽고 점수 따기 쉬운 사회탐구(사탐)를 선택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사탐으로 '런'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과탐보다 난이도가 낮고, 학업 부담을 줄이며, 점수를 더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트렌드는 단순한 "꼼수"로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새로운 입시 전략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있을까? 오늘은 이 현상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들여다보려고 한다. 1. "자연계열=과탐"이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선택과목과 관계없이 자연계열 모집단위에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이 늘어났다. 기존에는 자연계열이면 당연히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과탐이 필수가 아니게 된 것이다. 특히 서울대, 고려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홍익대 등이 기존의 선택과목 제한을 폐지하면서, 자연계열 학생들도 사탐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이 규칙을 유지하는 대학은 서울대뿐이다. 그 외 대학에서는 사실상 사탐 선택이 자유로워진 셈이다. 그렇다면 수험생 입장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다. "굳이 어렵고 부담스러운 과탐을 해야 할까?" 2. 가산점의 함정: 사탐 선택이 정답이 아닐 수도? 사탐을 선택하면 분명 학업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정시까지 고려한다면 가산점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주요 대학들이 여전히 과탐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 고려대, 동국대, 숙명여대, 연세대, 홍익대: 과탐 선택 시 과목당 3% 가산점 ✅ 중앙대: 과탐 선택 시 5% 가산점 ✅ 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