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도권 대학 입시 변화, 이게 최선입니까? – 서울시립대·중앙대 편
2026학년도 수도권 대학 입시 변화, 이게 최선입니까? – 서울시립대·중앙대 편 대입 변화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올해는 또 뭐가 바뀌었지?" 하며 혼란에 빠진다. 2026학년도에도 수도권 주요 대학의 입시 정책이 대거 수정되었는데, 특히 서울시립대와 중앙대 의 변화를 보면, 수험생들의 부담이 줄어든 것인지, 아니면 더욱 꼬인 것인지 헷갈릴 정도다. 이번 내용에서는 서울시립대와 중앙대의 2026학년도 대입 변경 사항을 낱낱이 파헤쳐 보고 , 이러한 변화가 과연 수험생들에게 득이 될지, 독이 될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서울시립대, 수능 최저 완화? 그런데... 서울시립대의 가장 큰 변화는 학생부위주전형(교과·지역균형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 한 것이다. ▶ 기존: 국·수·영·탐(1과목) 중 3개 영역 합 7등급 이내 ▶ 변경: 국·수·영·탐(1과목) 중 3개 영역 합 8등급 이내 + 한국사 4등급 이내 언뜻 보면 문턱이 낮아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합 7 → 합 8"의 차이가 얼마나 큰 변화를 불러올지는 미지수다. 한국사 4등급이라는 기준도 추가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학업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이 합격할 가능성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게다가 교과 전형 평가 방식도 바뀐다. ▶ 기존: 학생부 교과 100% ▶ 변경: 학생부 교과 90% + 교과 정성평가 10% 이게 과연 완화일까? 교과 정성평가(학업성취도·전공 관련 교과 이수·학습 태도 등)가 추가되면서, 내신만으로 평가받던 방식이 달라졌다. 즉, 단순히 성적이 좋은 학생이 아니라 "어떤 과목을 어떻게 공부했는지"까지 평가 받는다는 의미다. 이는 내신이 높은 학생도 안심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그리고 논술 전형의 비율이 논술 70% + 학생부 30% → 논술 80% + 학생부 20%로 변경되었다. 즉, 논술 실력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논술을 잘 준비하는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