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정시학생부반영인 게시물 표시

2028 대입 개편안, 과연 "역량"이 답일까?

이미지
2028 대입 개편안, 과연 "역량"이 답일까? 얼마 전 조선에듀에서 권오현 서울대 명예교수와의 인터뷰 를 통해 2028 대입 개편안의 주요 변화 와 학생들이 준비해야 할 전략을 다루었다. "정시도 학생부를 반영하는 시대", "수능 선택과목 폐지", "무전공 선발 확대" 등 변화의 폭이 크다. 그리고 이 모든 변화의 중심 키워드는 "역량"이다. 자,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하나 있다. 과연 우리는 "역량"이라는 단어만 반복하면 입시 문제가 해결될까? 🤔 1. 수능 선택과목 폐지: 문과·이과 경계는 사라질까? 2028학년도부터 국어, 수학, 사회·과학에서 선택과목이 폐지 된다. 이는 그동안 표준점수 유불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 하지만,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능이 문과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 인문·사회계열은 어느 정도 변별력이 유지되지만, ✅ 자연·이공계는 과학·수학 선택과목이 사라지면서 변별력이 낮아진다. 즉, 문과와 이과의 경계를 없애려다가, 오히려 이과 학생들이 불리해지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과학Ⅱ 과목을 선택해 심화 학습을 했던 학생들은 "뭐야, 내가 손해보는 거 아냐?"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 비판적 시각: "문과 침공"이 더 심해진다? 현재도 문과 인기학과(경영, 경제, 미디어 등)에 이과 학생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문과 침공"**이라는 말이 나온다. 그런데 수능 선택과목이 폐지되면, 자연계 학생들이 인문사회계 학과로 이동하는 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다. 👉 그럼 자연계열의 학문 균형은? 👉 인문사회계 학생들의 경쟁력은? 단순히 "선택과목을 없애면 공정해질 것"이라는 논리는 너무 단순하다. 대학이 정시에 학생부를 반영하려는 이유도, 이런 변별력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일 ...

대입 전략, 진짜 중요한 건 뭘까?

이미지
📌 대입 전략, 진짜 중요한 건 뭘까? – 권오현 교수의 인터뷰를 통해 본 입시 변화 분석 “대학 입시? 결국은 수능이지!” “아니야, 요즘은 학생부가 더 중요해!” “정시 늘어난다며? 수능 공부만 하면 돼?”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라면 이런 말들을 수도 없이 들어봤을 거다. 하지만 입시는 하루아침에 결정되는 게 아니다. 게다가 2028학년도부터 대입제도가 다시 한 번 큰 변화를 맞이한다. 이 와중에 대한민국 입시 전문가인 권오현 서울대 명예교수 가 대입의 핵심 전략 을 공개했다. 조선에듀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입시의 핵심이 학업 성적에서 학업 적합성으로 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도대체 학업 적합성이 뭐지? 👉 앞으로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뭘 더 신경 써야 할까? 👉 고교학점제, 무전공 선발, 학생부 종합전형(학종) 변화… 나는 뭘 준비해야 할까? 오늘 이 글에서는 입시 변화의 핵심 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보려고 한다. 특히 비판적인 시각 으로 "과연 이 변화가 공정한가?"라는 부분도 함께 고민해 보자. 📌 1. 학업 성적보다 '학업 적합성'이 중요하다? 권 교수는 "어떤 과목을 들었는가보다, 그 과목을 어떻게 학습했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게 무슨 말일까? 💡 과거 입시 방식 주요 과목(국영수과)의 내신, 정량적인 성적이 중요 수능 성적을 중심으로 합격 여부 결정 💡 앞으로의 입시 방식 과목 선택이 더 다양해짐 → 단순히 "점수"가 아니라 "학습 과정"을 평가 고교학점제 시행 → 학생이 스스로 선택한 과목이 중요해짐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반영 증가 즉, 단순히 수능 점수나 내신 평균을 올리는 것보다 "내가 왜 이 과목을 선택했고, 이 과정에서 어떤 학습 경험을 했는지"가 중요해진다는 뜻이다. ✔ 예전 방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