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정시지원전략인 게시물 표시

정시의 계절, 나에게 맞는 길을 찾는 법

이미지
정시의 계절, 나에게 맞는 길을 찾는 법 12년 동안 우리는 공부했다. 시험을 치렀고, 문제를 풀었고, 정답을 맞혔다. 그리고 이제, 운명의 한 장면 이 다가온다. 정시 원서 접수. 이제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어떤 대학을 갈 것인가? 아니, 더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어떤 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대학 입시는 시험이 아니다. 전략 게임 이다. 누가 더 높은 점수를 맞히느냐의 싸움이 아니라, 누가 더 영리하게 지원하느냐의 싸움 이다. 그러니, 무작정 원서를 던지는 것은 어리석다. 우리는 우리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나는 상위권인가, 중위권인가, 하위권인가? 그리고, 그 위치에서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 1. 상위권 수험생 – 원하는 대학에 갈 것인가, 안정적인 선택을 할 것인가? 상위권 수험생들은 늘 고민한다. “이 성적이면 서울대도 가능할까?” “연고대 안정권인가?” “혹시 점수 깎이면 서성한까지 떨어지진 않을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 점수가 남들과 비교했을 때 어디에 위치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 이다. 즉, 모의지원 서비스를 활용하라. 모의지원 서비스, 이거 그냥 참고용 아냐? 아니다. 모의지원 서비스는 수만 명의 수험생이 입력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즉, 단순한 참고 자료가 아니라 실제 경쟁률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 다. 내 점수로 어느 대학이 안정권인지, 어느 대학이 도전 가능한지 파악하라. 경쟁자들의 지원 경향을 분석하라. 최소 3가지 시나리오(도전, 안정, 하향)를 세워 대비하라.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지원 마감 직전까지 데이터를 주시하라. 정시는 마지막 10분이 승부를 가른다. 2. 중위권 수험생 – ‘성적’이 아니라 ‘전략’으로 승부하라 중위권 수험생들은 상위권처럼 대학을 고르는 자유가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냥 갈 수 있는 대학을 고르면 안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유리한 전형’을 찾는 것. 즉, 같은 점수라도 어떤 전형에 지원...

주식처럼 수시·정시 지원하기 – 타이밍과 전략이 성패를 가른다!

이미지
주식처럼 수시·정시 지원하기 – 타이밍과 전략이 성패를 가른다! 주식과 입시는 닮았다? 우리는 흔히 주식을 ‘타이밍 싸움’이라고 합니다. 언제 매수(사고), 언제 매도(팔지)에 따라 손익이 갈리는 것처럼, 대학 입시에서도 지원 타이밍과 전략이 합격의 성패를 결정합니다. 그렇다면 주식 투자 원리를 대학 수시와 정시 지원 전략에 적용한다면? 단순히 성적에 따라 지원 대학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입시 환경)의 흐름을 읽고, 적절한 타이밍을 잡으며, 분산투자로 위험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주식 투자와 대학 입시의 놀라운 공통점을 탐구해보겠습니다. 1. 수시 = ‘저평가 우량주’를 노려라! 주식 투자에서 ‘저평가 우량주’를 찾는 것은 필수입니다. 기업의 가치 대비 주가가 낮을 때 매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 수시 지원도 마찬가지입니다. ▶ 주식의 원리: 기업 실적은 좋은데 시장에서 주목받지 못해 주가가 낮은 종목을 찾아 선점한다. ▶ 수시 지원 적용: 내신은 다소 부족하지만, 지원자가 몰리지 않거나 특정 조건(면접, 자소서 등)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대학·학과를 공략한다. ✔ 예시: 논술 전형에서 특정 대학의 실질 경쟁률이 낮아졌다면 ‘저평가’된 대학으로 보고 과감히 도전. 학종에서 특정 대학이 비교과를 강조한다면, 내신보다 비교과 활동이 강한 학생은 이 기회를 활용. ✔ 비판적 접근: 수시에서 ‘저평가 대학’을 찾는 건 쉽지 않습니다. 대학의 지원율은 매해 변동이 심하고, 특정 대학이 갑자기 ‘고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논술 경쟁률이 낮았다고 올해도 낮으리라는 보장은 없죠. 단순히 저평가를 노리기보다 내 강점과 맞는 대학을 찾아야 합니다. 2. 정시 = ‘고평가 종목’ 매도 타이밍을 잡아라! 정시는 마치 ‘주가가 최고점일 때 매도’하는 것과 같습니다.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본인의 주가(점수)가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고, 시장(경쟁률, 지원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