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정시인 게시물 표시

수시 vs 정시, 부모와 자녀의 입장 차이 – 입시 전략, 갈등 그리고 해결책

이미지
수시 vs 정시, 부모와 자녀의 입장 차이 – 입시 전략, 갈등 그리고 해결책 입시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가정에서 뜨거운 논쟁이 벌어진다. “수시로 안전하게 가야 한다!” vs “정시로 승부 봐야 한다!” 부모와 자녀의 입장 차이는 때때로 입시보다 더 치열한 전쟁이 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바라보는 입시 전략의 차이 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조율 방법을 제안해본다. 1. 부모와 자녀, 왜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질까? ① 부모: “안전한 길이 최선이다” 부모들은 대개 안정성 을 중시한다. 그들이 수시를 선호하는 이유는 조기 합격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학생이 조금 더 편하게 대학을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다. 특히 고3 수험생활의 스트레스를 고려하면, 학생이 수능에 모든 것을 걸기보다는 학생부 관리와 내신을 기반으로 대학을 가는 것이 훨씬 현실적인 선택처럼 보인다. 부모의 주요 논리: "수능 한 번 망치면 기회가 없다." "수시는 여러 번 지원할 수 있지만 정시는 단 한 번이다." "OO대라도 안정적으로 가는 게 중요하지 않겠니?" 그러나, 부모의 이러한 안정적인 접근 방식이 모든 경우에 맞는 것은 아니다. 일부 학생들에게는 수능이 오히려 더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다. ② 자녀: “도전하고 싶어요” 학생들은 부모보다 현재 자신의 실력을 냉정하게 평가하는 경향 이 있다. 자신이 수능에서 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정시를 선택하려고 한다. 또한, 입시를 바라보는 시각이 부모와는 다르다. 학생의 주요 논리: "수시로 내신 맞추는 게 더 힘들어요." "나는 차라리 수능 공부해서 정시로 가고 싶어." "학과가 중요하지, 굳이 네임밸류만 따라갈 필요가 있을까요?" 특히 자신의 관심 분야와 목표 대학 이 명확한 학생일수록 정시를 고집하는 경향이 강하다. 문제는, 현실적으로 ...

입시의 끝은 어디인가? – 반수, 정시, 추가모집까지의 스펙타클한 여정

이미지
입시의 끝은 어디인가? – 반수, 정시, 추가모집까지의 스펙타클한 여정 입시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그 누구보다 입시를 치열하게 준비한 우리 아이, 정시 발표가 끝나고도 추가모집이라는 마지막 한 줄기 희망을 잡으며, 결국 의대 합격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돌이켜보면, 이 과정이 한 편의 드라마 같았다. 눈물도 나고, 웃음도 났던 이 입시 과정을 기록해 본다. 📌 반수를 결심하다 – "엄마, 나 휴학해요." 우리 아이는 작년, 대학에 입학해서 생활하던 중 “혹시나 안되면 그냥 학교 다닐게요~”라고 말하면서도, 속으로는 반수를 결심하고 있었다. 그리고 결국, 기숙학원으로 입소. 대학생활을 하면서도 공부를 병행했고, 이왕 하는 거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로 임했다. 하지만 입시는 예상대로만 흘러가지는 않았다. ❗ 수능 한 달 전, 찾아온 번아웃 수능을 한 달 앞둔 어느 날, 느닷없이 걸려온 아이의 전화. 🗣️ “엄마, 나 병원 가야 할 것 같아.” 😨 “왜? 어디 아파?” 🗣️ “머리가 안 돌아가고, 글자가 안 보여.” 순간 가슴이 철렁했다. 곧바로 서울로 올라가 병원에 데려갔다. 결국 아이는 번아웃을 겪고 있었다. 며칠 휴식 후 복귀했지만, 체력은 회복되지 않았고, 컨디션 난조로 인해 수능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 정시 – 예측 불가능한 결과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정시 원서를 접수했다. ✅ 정시 3장 – 집 근처 대학 중심 지원 ✅ 수시는 포기, 정시에 집중 하지만 올해 정시는 예상과 달랐다. ‘이 정도면 붙겠지?’ 했던 대학에서도 추합이 잘 돌지 않았고, 결국 정시 3전 3탈. 입시는 정말 예측할 수 없는 게임이었다. 📢 추가모집, 마지막 기회 정시 발표가 끝나고, "그래, 이쯤에서 멈추자."라고 생각했지만, 입시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었다. ❗ 의대 추가모집이 열린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진즉에 추가휴학까지 생각했던 터라, 망설일 것 없이 추가모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