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전략인 게시물 표시

입시는 전략이다, 그리고 전술이다.

이미지
입시는 전략이다, 그리고 전술이다. 좋은 자료가 많아도, 그걸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입시에서는 무용지물입니다. 넘쳐나는 입시 정보 속에서 남의 아이가 아닌, 내 아이에게 맞게 다듬고 적용하는 것, 그것이 진짜 입시의 핵심입니다. 우리 아이가 지금 가진 능력이 최상급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을 찾아내어 그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전략입니다. 현재보다 더 높은 곳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끄는 것, 그것이 전술입니다. 아는 만큼 대학은 갑니다. 그냥 스쳐 지나가는 입시 정보도, 우리 아이에게 적용해볼 수 있을지 한 번 더 고민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 아닐까요? 공부 잘하는 부모님들이 “간식만 잘 챙겨줘도 된다”고 말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말이 나오기까지는 보이지 않는 노력과 꾸준한 관심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부터라도 넘쳐나는 입시 정보 속에서 우리 아이에게 맞는 것 하나라도 스크랩하고 적용해보는 노력, 그 작은 실천이 쌓여 미래를 바꿀 것입니다. 입시는 결국 부모와 아이가 함께 만들어가는 여정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만의 전략을 만들어가 봅시다.

대학 입시, 전략인가? 운인가? – 우리 아이의 입시 이야기

이미지
대학 입시, 전략인가? 운인가? – 우리 아이의 입시 이야기 기숙사에 들어가기 위해 짐을 정리하다가 문득 작년 이맘때가 떠올랐다. 아직도 손톱 발톱도 서툴게 깎고, 라면도 제대로 못 끓이고, 빨래도 어설픈 아이가 이제 부모 품을 떠나 홀로서기를 한다. 한편으로는 대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걱정스럽다. 이번에 지방 거점 국립대 의대(지거국의대)에 합격한 우리 아이. 비록 1지망은 아니었지만, 충분히 만족하고 감사한 결과였다. 한의대와 의대를 고민했지만, 결국 의대를 선택했고, 나는 “알바를 하든, 반수를 하든, 기숙사에서 경험해 보라”고 말했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대단한 공부법을 공유하려는 것이 아니다. 입시를 준비하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그 과정에서 얻은 현실적인 경험과 깨달음 을 공유하고 싶어서다. 혹시 같은 길을 걷는 학부모님들과 수험생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입시 후기를 정리해본다. 📌 입시 전략 – 우리는 이렇게 준비했다 솔직히 말하면, 우리 아이는 특별한 학습법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돌아보면 “꾸준함과 성실함”이 가장 큰 무기였던 것 같다. ✔ 독서 습관 어릴 때부터 영어 원서를 포함해 다양한 책을 읽었다. 이것이 국어, 영어, 모의고사, 그리고 수능까지 1등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사교육? 지방이라 인강이 답이었다 지방 일반고라서 사교육의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전적으로 인강을 활용 했다. ✅ 국어(언매): 김동욱 ✅ 영어: 조정식, 이명학 ✅ 수학(미적): 정병호 ✅ 생명과학: 백호 ✅ 화학: 고석용 ❗ 입시의 핵심 – 결국은 내신과 수능 최저! 우리는 수시 중심(교과전형) 전략 을 택했다. 📌 수시 전략 ✔ 교과전형 위주 지원 ✔ 3합(수능 최저) 충족에 집중 ✔ 고3 여름부터 국영수에 올인 ✔ 수능 직전까지도 내신 챙김 (3학년 2학기 1.0 유지) 📌 수능 실전의 벽 국영은 안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