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약술형논술인 게시물 표시

약술형 논술, ‘쉬운 논술’이라는 착각 속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이미지
약술형 논술, ‘쉬운 논술’이라는 착각 속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내신 3등급 이하도 쉽게 갈 수 있다?” 정말일까? 수험생들에게 ‘약술형 논술’이라는 단어는 일종의 희망이자 함정이다. 특히, 내신이 불리한 학생들이 인서울을 꿈꾸며 마지막 돌파구로 삼는 전형이다. “기존 논술보다 쉽다.” “평소 공부했던 것으로도 대비할 수 있다.” 이런 문장들은 많은 학생들의 마음을 흔든다. 그렇다면 정말로 약술형 논술은 쉽고 접근하기 쉬운 전형일까? 우리는 흔히 ‘쉽다’라는 말에 속는다. 그러나 입시에서 ‘쉬운 기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쉬운 것처럼 보이는 기회’가 있을 뿐이다. 약술형 논술, 이 전형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6학년도 약술형 논술 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은 총 15개. 국민대, 가천대, 강남대, 상명대, 을지대 등이 포함되며, 총 3,530명을 선발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대학들은 왜 논술을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대신, 약술형 논술을 확대하는 것일까? 이는 단순히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가 아니다. 대학이 약술형 논술을 확대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수능 연계도를 높이고자 함 기존 논술보다 평가 기준을 단순화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함 평가 방식이 쉬워졌다고 착각한 지원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함 즉, 약술형 논술은 ‘논술’이라기보다 객관식+단답형 논술에 가깝다. 이는 과거 ‘전공적성검사’의 흐름을 잇는 전형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존 논술과는 전혀 다르다. 수리논술과 인문논술처럼 복잡한 논리적 전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보고 핵심 개념을 정확하게 정리해 짧은 답변을 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대학들은 절대 쉬운 전형을 만들지 않는다. 약술형 논술이 단순해 보이지만, 결국 정확한 개념 정리와 답변 구조를 갖춘 학생이 합격할 수밖에 없다. “평소 공부로 대비할 수 있다”는 말의 함정 “약술형 논술은 학교 내신 시험과 비슷하다.” “EBS 교재와 연계된다.” 이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