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의사인 게시물 표시

"수의사는 동물만 돌보는 사람이 아니다" – 건국대 수의예과 박** 학생 인터뷰

이미지
"수의사는 동물만 돌보는 사람이 아니다" – 건국대 수의예과 박** 학생 인터뷰 동물에 대한 사랑,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할까? 어릴 적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워본 경험이 있다면 한 번쯤은 ‘수의사’라는 직업을 떠올려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의예과에 진학하는 길은 단순히 동물을 좋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번에 인터뷰한 건국대학교 수의예과 24학번 박** 학생 역시 어린 시절부터 동물과 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많았지만, 단순한 애정이 아닌 철저한 학문적 탐구를 통해 자신의 꿈을 확신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성장하면서 생명의 소중함을 깊이 깨달았어요. 하지만 수의학이 단순한 동물 치료를 넘어, 생태계의 균형과 인간 사회의 보건까지 아우르는 분야라는 점을 알고 더 깊이 공부하고 싶어졌어요." 수의예과, 어떤 학생들에게 어울릴까? 많은 사람이 ‘수의예과’라고 하면 개와 고양이만 다루는 곳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박준호 학생은 단호히 말한다. "수의학은 생명과학과 화학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다뤄요. 생명체의 생리 작용과 화학 반응을 이해하는 게 핵심이죠. 동물과 교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초과학에 대한 탐구심과 논리적 사고력이 없다면 학업이 굉장히 힘들 거예요." 즉, 단순한 애정만이 아니라 과학적 사고력, 분석력, 탐구심 이 중요한 학과라는 점이다. 수의학이 결국 ‘질병을 연구하고 예방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생물학적 분석에 대한 관심이 필수다. 수의예과의 매력과 현실 수의예과의 커리큘럼은 비교적 자유로운 1학년 생활로 시작된다. 하지만 이것이 방심의 계기가 되어선 안 된다. "1학년 때는 비교적 여유가 있어 보이지만, 기본적인 생명과학과 화학을 확실히 다져놓지 않으면 2학년부터 학업이 감당이 안 돼요. 특히 유급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성적 관리가 중요하죠." 수의예과의 또 다른 매력은 다양한 진로 선택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