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필수체크! 선택과목, 입시의 키를 쥐다?
고교학점제 필수체크! 선택과목, 입시의 키를 쥐다? 2025학년도 대학 입시가 본격적으로 막을 올리면서, ‘고교학점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특히 상위 대학들이 학과별 ‘교과 이수 권장과목’을 제시하면서 , 이제는 단순히 내신 성적을 잘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게 되었다. 즉, 학생들이 ‘어떤 과목을 선택하느냐’가 대입 합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번 입시 개편이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까? 그리고 우리는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지금부터 한층 깊이 들어가 보자. 1. ‘내신 고득점’보다 ‘전공 적합성’이 중요해진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과목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은 분명 좋은 변화다. 하지만, 이 제도가 실제 대학 입시에서는 어떻게 작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부산대 등 주요 대학들은 각 전공에 맞는 권장과목을 지정 하면서, 입시에서 해당 과목의 이수 여부를 평가 요소로 활용할 것임을 명확히 했다. 이 말은 곧, 단순히 쉬운 과목을 선택해 내신 등급을 올리는 전략은 이제 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는 뜻이다. 대학들은 학생들이 해당 전공을 이수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수 과목’을 살펴볼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의예과를 목표로 한다면 생명과학을, 기계공학부라면 물리를 필수적으로 이수 해야 한다. 만약 이런 권장과목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대학에서 “이 학생은 이 학문을 제대로 공부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라는 의문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즉, 단순한 ‘성적’보다는 ‘학문적 정합성’을 더욱 강조하는 방향으로 대학 입시가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2. 대학들이 갑자기 왜 권장과목을 도입할까? 사실 대학들이 권장과목을 제시한 것은 ‘문·이과 통합’의 부작용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수학을 전혀 모르는 공대생, 물리를 배우지 않은 기계공학과 학생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