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기부인 게시물 표시

2026학년도 고1 생활기록부 대격변! 새로운 성적 관리 시스템, 이대로 괜찮을까?

이미지
2026학년도 고1 생활기록부 대격변! 새로운 성적 관리 시스템, 이대로 괜찮을까? 2026학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성적 관리 방식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작성 규정이 변화하면서, 학생·학부모·교사 모두 적응해야 할 과제가 생겼습니다. 이제 표준편차가 사라지고, 모든 과목에서 성취도별 비율이 표기됩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수업, 수업량 유연화 등의 변화도 필수적으로 따라오죠. 그렇다면 이번 개편이 정말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향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부작용을 불러올까요? 1. 표준편차 없는 성적 평가, 변별력 유지될까? 가장 큰 변화는 표준편차가 기록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대신 성취도별 비율(A, B, C, D, E)이 전 과목에 걸쳐 표기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장점: 학생 간 성적 격차가 크지 않아 보이게 되고, 과목별 난이도에 따른 불이익을 줄일 수 있다. 단점: 난이도가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를 동일 선상에서 평가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A학교에서는 80점이 A등급을 받을 수 있지만, B학교에서는 95점이 되어야 A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이 볼 때는 "둘 다 A등급이네?" 라고만 보일 뿐입니다. 즉, 표준편차가 없어지면서 학교별 난이도 차이를 감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성적을 비교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이 큽니다. 이렇게 되면 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수행평가 비중이 높은 학교의 학생이 더 유리한 상황 이 될 수도 있죠. 결국, 대학 입장에서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특 기록을 더욱 중요하게 볼 가능성이 커질 것입니다. 2. 수행평가 비중 증가, 성적 부풀리기 가능할까? 새로운 성적 기재 방식에서는 성취도별 비율(A, B, C, D, E)로 학생들의 수준을 평가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습니다. E(40% 미달) 등급을 받으면 재...

학교생활기록부, 마감일의 압박 속에서 세특을 완성하는 법

이미지
학교생활기록부, 마감일의 압박 속에서 세특을 완성하는 법 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어느새 3월이 시작되었습니다. 정신없이 적응하다 보면 4월이 되고, 중간고사 준비에 정신이 팔리죠. 5월엔 수행평가와 학교 행사들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여유를 갖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렇게 바쁜 나날을 보내고 나면 기말고사 시즌이 다가오고,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직전인 8월 31일, 학교생활기록부(세특) 마감일이 찾아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하나! 고등학교 1학년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은 학기가 끝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1학기 세특을 보완하고 싶다면 8월 31일 이전 에 모든 작업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바쁜 학사 일정 속에서 세특을 신경 쓰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1학기 동안 언제, 어떻게 세특을 준비해야 할까요? ⏳ 시기별 세특 작성 전략 – ‘미리미리’가 답이다!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의 세특을 작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한순간에 몰아서 쓰지 않는 것 입니다. 세특은 꾸준한 관찰과 기록이 필요합니다. 1학기 동안의 전략을 시기별로 정리해 봤습니다. 📌 3월: 초기 관찰 기록 ✔️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기초 학력 수준을 파악합니다. ✔️ 특별한 관심사나 재능이 보이는 학생들을 메모해 둡니다. ✔️ 수행평가나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보여주는 태도를 눈여겨봅니다. → Tip: ‘첫인상 효과’를 적극 활용하세요. 초반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 교사의 기억에 오래 남을 가능성이 큽니다. 📌 4월: 중간고사 준비 및 평가 기간 ✔️ 학생들의 시험 준비 과정과 학습 전략을 살펴봅니다. ✔️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한 사례를 정리해 둡니다. ✔️ 특정 개념에 대한 질문을 자주 하거나, 탐구 활동을 수행한 경우 기록합니다. → Tip: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공부법을 개선한 점, 꾸준한 노력이 보인다면 이를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