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변화인 게시물 표시

2028 대입 개편안, 변화인가 혼란인가?

이미지
2028 대입 개편안, 변화인가 혼란인가? 고등학교 3학년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대입제도 개편은 늘 뜨거운 감자다. 특히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학부모와 학생들 사이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번 개편안은 통합형·융합형 수능 과목체계와 고교 내신체제 개편이라는 두 가지 핵심 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변화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지, 아니면 또 다른 혼란을 가져올지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1. 선택 없는 수능, 진정한 공정성인가? 기존 수능에서는 국어, 수학, 탐구 영역에서 학생들이 선택과목을 고를 수 있었다. 하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선택과목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고 모든 학생이 동일한 시험을 치르게 된다. 이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없애겠다"는 취지로 시행된 변화다. 특히 사회·과학탐구 영역 에서는 17개의 과목 대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출제되어 모든 학생이 동일한 문제를 풀게 된다. 이런 변화는 과목별 난이도 차이에 따른 점수 유불리를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심화된 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는 아쉬운 변화로 다가올 수 있다. 과학고나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학생들이 해당 과목을 깊이 있게 배우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대학에서의 전공 적합성 평가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게다가 "융합형 문제"가 출제될 것이라는 예고가 있었는데, 이는 문제 유형이 단순한 지식 암기가 아닌 사고력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변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과연 공교육이 이러한 변화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학생들이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방향을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교육 의존도가 더욱 커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 내신 등급제 개편, 실효성 있는가? 현재의 9등급 내신 체계가 5등급 절대평가(A~E)로 바뀌면서, 고등학교 내신 평가 방식에도 큰 변화가 생긴다. 그동안 상대평가로 인해 내신 경쟁이 치열했지만, 이번 개편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