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도서정보테이터베이스인 게시물 표시

교과서 속 책을 한눈에? 데이터베이스가 해결해 줄까?

이미지
교과서 속 책을 한눈에? 데이터베이스가 해결해 줄까? "내 교과서에 나온 이 책, 도서관에 있을까?" "이 책을 읽으면 수업이 더 쉬워질까?" 이제 이런 고민을 쉽게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교육부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도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해 ‘독서로’( https://read365.edunet.net/ ) 플랫폼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소식이다. 이제 학생과 교사는 교과서 속 추천 도서를 쉽게 찾아보고, 학교 도서관에서 대출할 수도 있으며, 독서활동을 계획하는 데도 활용 할 수 있다. 겉보기엔 꽤 괜찮은 정책처럼 보이는데, 정말 그렇게 될까? 교과서 속 책, 쉽게 찾을 수 있을까? 그동안 교과서에 실린 도서 목록을 확인하려면 직접 책을 펼쳐 부록을 찾아보거나, 별도의 자료를 참고해야 했다. 하지만 이번에 도입된 DB 시스템은 학교급·학년·교과별로 분류된 3,081권의 도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 해놓았다. 이제 학생들은? 교과 연계 독서를 쉽게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총, 균, 쇠’가 수록되어 있다면, 학생들은 미리 읽어보면서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학교 도서관에서 바로 검색하고 대출까지 가능하다! → ‘독서로’에서 책을 검색하면 학교 도서관에 보유 여부를 확인하고, 대출 예약까지 가능하다. 이제 교사들은? 다른 학교 교과서에 어떤 책이 실려 있는지도 확인 가능! → 내 교과서에 없는 책이라도, 다른 교과서에 실려 있는 좋은 책을 찾아볼 수 있다. 수업과 연계한 독서 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 학생들에게 학습 보충용으로 권장 도서를 추천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이쯤 되면 "완벽한 시스템이네!"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정말 그렇게 순탄할까? 비판적 시선: 정말 효과적일까? 이제부터 현실적인 문제를 짚어보자. 정책은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 활용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