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학학점제인 게시물 표시

고교학점제,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을까? – 기대와 현실

이미지
고교학점제,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을까? – 기대와 현실 “고교학점제에서는 선택과목을 필수로 들어야 하는 건 아니죠?” 이 질문을 던지며 나는 대학 때처럼 원하는 과목만 골라 듣고 학점을 채우는 방식 을 상상했다. 자유롭게 배우고 싶은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면 훨씬 더 흥미로운 학교생활이 될 것 같았다.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달랐다. 1. 고교학점제,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만은 않다." ✅ 대학처럼 선택과목을 통해 자신의 관심 분야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은 맞다. ❌ 하지만 완전한 자유선택이 아니다. 필수 학점 기준이 존재하며, 일정 부분은 학교가 정한 과목을 들어야 한다. 고교학점제에서도 대학처럼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이 존재 한다. 공통과목 (필수) → 국어, 수학, 영어, 통합사회, 통합과학, 한국사, 체육, 음악, 기술가정/정보/제2외국어/한문/교양 등 84학점 선택과목 (학생 선택) → 나머지 90학점 을 자신의 진로에 맞게 선택 창의적 체험활동 → 자율·동아리·진로·봉사활동 등을 포함해 18학점 즉, 학생이 모든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구조는 아니다 . 대학의 교양필수 + 전공필수 같은 개념이 적용된다. 2. 현실적인 선택 – “내가 듣고 싶은 과목이 없을 수도 있다?” 고교학점제가 이상적으로 들리지만, 현실적인 문제는 존재한다. 🔹 학교마다 개설 과목이 다르다 이론적으로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하지만, 학교에서 제공하는 과목 안에서만 선택 가능 하다. 예를 들어, A고등학교에서는 지구과학 II 가 개설되지만, B고등학교에서는 아예 개설되지 않을 수도 있다. 🔹 수강 인원이 적으면 폐강될 수도 있다 대학처럼 수강 신청을 했는데, 수강 인원이 너무 적으면 해당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화 생명과학’을 듣고 싶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