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단국대(천안)인 게시물 표시

2026 대입 개편, 변화인가 혼란인가?

이미지
2026 대입 개편, 변화인가 혼란인가? 대입이 또 바뀌었다. 2026학년도부터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단국대(천안) 등 여러 대학이 입시 전형을 조정한다. 수능 최저 완화, 면접 폐지, 무전공 확대 등 온갖 변화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수험생들은 ‘이게 기회인가? 아니면 더 어려워지는 건가?’라는 고민에 빠졌다. 하지만 교육 정책이 바뀔 때마다 결국 피해를 보는 건 학생들이었다. 이번 개편이 ‘기회의 확장’이 될지, 또 하나의 ‘복잡한 룰 만들기’가 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 고려대 – 수능 최저 완화, 기회일까 함정일까? 고려대는 이번 개편에서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 했다. 기존에는 탐구 두 과목 평균을 반영했지만, 이제 한 과목만 반영한다. 또한 경영대 논술전형은 최저 기준이 4개 영역 합 5에서 8로 완화 되었다. 언뜻 보면 학생들에게 유리해진 듯하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해볼 점이 있다. 경쟁률 상승 수능 최저가 낮아지면 더 많은 학생이 지원할 수 있다. 논술 전형은 특히 경쟁이 치열한데, 최저가 낮아지면서 ‘지원만 해보는’ 학생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실질적인 합격선은 더 올라갈 수도 있다. 정시 자연계열 – 사회탐구 선택 가능 기존에는 자연계열 학생들이 과학탐구를 선택해야 했지만, 2026학년도부터는 사회탐구를 선택해도 된다. 단, 과학탐구 응시자는 변환표준점수에서 3%의 가산점을 받는다. 그렇다면 여기서 또 질문이 생긴다. ‘3%가 유의미한 차이일까?’라는 것이다. 수학(미적분, 기하)과 과학을 버리고 국어+사회로 정시 자연계열을 준비하는 학생이 생길지도 모른다. 결론? 수능 최저가 완화되면서 기회는 늘어났지만, 실질 경쟁률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자연계열에서 사회탐구 응시 가능성이 열린 것도 변수가 될 것이다. 성균관대 – 전형 구조 복잡해지나? 성균관대는 수시에서 논술을 언어형과 수리형으로 나누고 , 학생부종합전형(탐구형)의 면접을 폐지했다. 대신 면접형-성균인재전형 을 신설했다. 면접 폐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