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강인 게시물 표시

기억을 담은 나무, 녹지 않는 눈 – 『작별하지 않는다』를 읽고

이미지
기억을 담은 나무, 녹지 않는 눈 – 『작별하지 않는다』를 읽고 “우리는 작별을 끝낼 수 있을까”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희미해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어떤 기억은, 어떤 상처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더 깊고 단단하게 뿌리를 내린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그런 이야기다. 잊히기를 거부하는 역사, 지워지기를 거부하는 삶의 흔적. 그리고 그것을 온몸으로 껴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읽는 내내 숨이 막혔다. 소설 속 인물들은 자신이 짊어진 상처를 묵묵히 감당하며 살아간다. 그들의 고통은 우리의 것이기도 하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단순한 소설이 아니다. 이 책은 우리의 역사 속 가장 어두운 시간으로 독자를 끌고 간다. “폭력은 육체를 절멸하지만, 기억은 육체 없이 영원하다” 한강의 문장은 차갑고도 뜨겁다. 칼처럼 날카롭지만, 그 칼날에 묻은 눈물의 온기가 있다. 소설은 ‘나’와 인선이라는 두 인물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사랑, 상실, 그리고 결코 녹지 않는 기억이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 4.3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동시에 제대로 알지 못하는 역사. 관광지로만 알고 있던 제주도의 바람이 그렇게 오랫동안 탄압의 비명을 품고 있었다는 것을 우리는 잊고 있었다. 한강은 그 잊힌 이야기들을 단단한 문장 속에 새겨 넣었다. “녹지 않는 눈, 끝나지 않는 작별” 책을 덮은 후에도 잔상이 남는다. 단순히 제주 4.3이라는 역사적 사건 때문이 아니다. 이 소설은 특정한 시대의 특정한 사건만을 다루지 않는다. 권력의 폭력, 인간의 상실, 그리고 기억의 지속성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룬다. 책 속 한 구절이 계속해서 마음을 때린다. “하지만 죽음이 이렇게 생생할 수가 있나. 뺨에 닿은 눈이 이토록 차갑게 스밀 수 있나.” 차가운 눈처럼, 사라지지 않는 기억. 그 기억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아직도 찾지 못한 가족이 있기 때문에, 아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