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에서 제2외국어, 필수인가 선택인가? – 교육과정의 진실
고교학점제에서 제2외국어, 필수인가 선택인가? – 교육과정의 진실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는 현 고1의 경우, 제2외국어는 선택과목인가요?" 이 질문을 던지며 나는 잠시 과거를 떠올렸다. 고등학생 시절, 영어 한 과목만으로도 벅찼는데, ‘제2외국어’까지 필수로 들어야 한다면? 한국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제2외국어는 과연 꼭 필요한 것일까? 아니면 선택적으로 배우는 것이 더 합리적일까?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선택권이 확대된다는 말이 많지만, 모든 과목이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에 맡겨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2외국어의 경우, 학교마다 운영 방식이 다르다. 이번 글에서는 제2외국어의 실제 운영 방식과 고교학점제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1. 제2외국어, 선택인가 필수인가? ✅ 정답: 선택이지만, 학교에 따라 실질적으로 필수가 될 수도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제2외국어는 선택과목 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과군별 필수 이수 학점을 맞추기 위해 제2외국어(예: 일본어, 중국어)를 지정과목으로 설정 했다. 고교학점제에서도 이 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의 위치 생활·교양 교과군 에 포함 기술·가정 / 정보 / 제2외국어 / 한문 / 교양 중 총 16학점을 이수해야 함 학교에 따라 제2외국어를 필수로 지정할 수도 있고, 선택의 폭을 넓혀 정보·교양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음 즉, 이론적으로는 선택과목이지만, 학교가 운영하는 방식에 따라 사실상 필수가 될 수도 있다. 2. 학교마다 다른 선택권, 정말 학생 중심 교육인가?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다. 하지만 제2외국어의 경우, 학교에 따라 선택권이 천차만별 이다. ✔️ A학교: "일본어 or 중국어 중 선택" → 제2외국어 필수처럼 운영 ✔️ B학교: "일본어, 중국어, 정보, 교양 중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