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유인 게시물 표시

고교학점제, 진짜 대학처럼 자유로운가? 아니면 또 다른 경쟁의 시작인가?

이미지
고교학점제, 진짜 대학처럼 자유로운가? 아니면 또 다른 경쟁의 시작인가? “이제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이런 말을 자주 듣는다. 얼핏 보면 굉장히 좋은 변화처럼 보인다. 더 이상 똑같은 교과 과정을 따라가지 않고, 자신의 진로에 맞춰 원하는 과목을 듣고 학점을 채워 졸업하면 된다니! 그런데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진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일까? 아니면 결국 ‘대학 입시에 유리한 과목’을 강제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새로운 경쟁의 장이 된 것일까? 오늘은 고교학점제가 가져올 변화와 그 이면의 문제점 을 함께 살펴보자. 📌 고교학점제, 무엇이 달라지나? 고교학점제의 핵심은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일정 학점을 충족하면 졸업할 수 있는 제도 라는 점이다. ✔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 선택 가능 ✔ 총 192학점(교과 174학점 + 창의적 체험활동 18학점) 이수 필요 ✔ 내신 평가 방식이 절대평가(5등급제)로 변경 ✔ 출석률 3분의 2 이상이어야 학점 인정 ✔ 수능 선택과목 폐지 가능성 증가 이제는 학생들이 무조건 같은 과목을 들을 필요가 없다 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다. 그러나… ❗ 고교학점제, 진짜 선택일까? 아니면 보이지 않는 필수 과목의 등장일까? 🔹 1. 대학 입시가 ‘선택’을 강제한다 고교학점제는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입시에서 살아남을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 공대를 목표로 한다면? → 미적분, 물리Ⅱ 필수 📌 의대를 목표로 한다면? → 생명과학Ⅱ, 화학Ⅱ 필수 📌 인문계열을 목표로 한다면? → 심화 국어, 세계사 필수 결국 대학이 요구하는 과목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듣고 싶은 과목을 듣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진다. 즉, 진짜 자유로운 선택은 존재하지 않는다. 🔹 2. 내신 절대평가, 정말 학생들에게 유리할까? 2025년부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