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입학사정관시선인 게시물 표시

입학사정관의 시선으로 본 학생부 – 우리가 몰랐던 평가의 진실

이미지
입학사정관의 시선으로 본 학생부 – 우리가 몰랐던 평가의 진실 입시철이 다가오면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가장 큰 궁금증 중 하나는 "입학사정관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를 어떻게 평가할까?"이다. 우리는 종종 "행특(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을 잘 써야 한다", "교과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중요하다" 등의 피상적인 조언만 듣곤 한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의 실제 평가 방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사뭇 다르다. 최근, 고려대 전임 입학사정관이었던 배선우 선생님 이 ‘입학사정관의 평가 방식’에 대한 글을 남겼다. 이 글을 읽으면 대학의 평가 시스템이 단순하지 않으며, 학생부의 특정 부분만 강조하는 전략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점 을 알게 된다. 오늘은 이 글을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이 학생부를 읽는 방식 과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을 짚어보려 한다. 📌 입학사정관의 학생부 평가, 이렇게 진행된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를 무조건 순서대로 읽지는 않는다.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정해진 흐름과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평가 한다. 📝 입학사정관이 학생부를 평가하는 단계 1️⃣ 모집단위 정보 파악 및 1차 서류평가 2️⃣ 역량별 세부 항목 평가 및 1차 점수 부여 3️⃣ 전체 서류평가 순위 확정 및 재검토 4️⃣ 평가 결과 및 특이사항 협의 각 단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평가가 진행되는지 하나씩 살펴보자. 1️⃣ 모집단위 정보 파악 및 1차 서류평가 📌 입학사정관도 ‘학과별’로 평가 기준을 숙지한다. 학생부 평가 전에, 지원자의 모집단위(학과)에 대해 숙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학과(모집단위)별 핵심 역량과 추천 도서, 전공과 연계되는 교과목 등을 분석한다. 즉, 단순히 "성적이 좋다"가 아니라, 지원한 전공과 적합한 학업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가 중요해진다. 📌 지원자의 성적대 분포를 분석한다. 인문사회계열은 국어, 영어, 수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