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입시예측불가능성인 게시물 표시

의대 정원 확대? 학생들의 불안도 확대된다

이미지
의대 정원 확대? 학생들의 불안도 확대된다 “이제는 입시가 아니라 정치가 된 걸까?” 1. 의대 증원 2000명, 그것이 몰고 온 폭풍 최근 몇 년간 대학 입시는 혼돈 그 자체였다. 고3 학생들은 “이게 진짜 확정된 정책이 맞나요?”라고 물을 틈도 없이 계속 바뀌는 입시 제도에 휘둘려야 했다. 2024학년도에는 첨단학과와 보건계열 인원을 갑작스럽게 증원하더니, 2025학년도에는 예고도 없이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를 발표했다. 2000명. 이 숫자가 단순해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입시 판도를 뒤흔드는 규모다. 서울대 자연계열 학과 전체 커트라인에도 영향을 줄 만큼 거대한 변화다. 학생들은 “의대가 늘어나면 좋지 않나요?”라고 묻는다.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2. 의대 증원, 정말 모든 학생들에게 유리한가?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당연히 합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의대 증원 이후 입시 전략이 완전히 뒤바뀌었다. 특히 지방 의대들은 선발 방식을 조정하면서 내신 커트라인이 붕괴되는 상황 이 벌어졌다. 울산대 는 지역인재 교과 전형을 신설하면서 33명을 추가 모집했다. 부산대 는 교과 전형에서도 학업역량평가(비교과)를 반영하면서 선발 기준을 바꿨다. 이런 변화는 예상치 못한 합격선 하락을 불러왔다. 부산대가 독점하던 부산·경남 지역의 우수 학생들이 울산대로 이동했고, 그 결과 부산대 의대의 합격선이 흔들리고, 정시 이월 인원이 발생하는 사태 가 벌어졌다. 심지어 수능 최저 기준을 맞추지 못한 학생들이 대거 탈락하면서, 일부 지방 의대에서는 내신 2점대 학생들이 합격하는 상황 까지 나왔다. 의대는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과다. 그렇기에 의대의 합격선이 변하면 도미노처럼 다른 학과들의 합격선도 무너진다. 연세대·고려대 공대 → 자연계 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빠지며 합격선 하락 치대, 한의대, 약대 → 최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몰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