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의대정원확대인 게시물 표시

의대 정원 확대? 학생들의 불안도 확대된다

이미지
의대 정원 확대? 학생들의 불안도 확대된다 “이제는 입시가 아니라 정치가 된 걸까?” 1. 의대 증원 2000명, 그것이 몰고 온 폭풍 최근 몇 년간 대학 입시는 혼돈 그 자체였다. 고3 학생들은 “이게 진짜 확정된 정책이 맞나요?”라고 물을 틈도 없이 계속 바뀌는 입시 제도에 휘둘려야 했다. 2024학년도에는 첨단학과와 보건계열 인원을 갑작스럽게 증원하더니, 2025학년도에는 예고도 없이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를 발표했다. 2000명. 이 숫자가 단순해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입시 판도를 뒤흔드는 규모다. 서울대 자연계열 학과 전체 커트라인에도 영향을 줄 만큼 거대한 변화다. 학생들은 “의대가 늘어나면 좋지 않나요?”라고 묻는다.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2. 의대 증원, 정말 모든 학생들에게 유리한가?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당연히 합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의대 증원 이후 입시 전략이 완전히 뒤바뀌었다. 특히 지방 의대들은 선발 방식을 조정하면서 내신 커트라인이 붕괴되는 상황 이 벌어졌다. 울산대 는 지역인재 교과 전형을 신설하면서 33명을 추가 모집했다. 부산대 는 교과 전형에서도 학업역량평가(비교과)를 반영하면서 선발 기준을 바꿨다. 이런 변화는 예상치 못한 합격선 하락을 불러왔다. 부산대가 독점하던 부산·경남 지역의 우수 학생들이 울산대로 이동했고, 그 결과 부산대 의대의 합격선이 흔들리고, 정시 이월 인원이 발생하는 사태 가 벌어졌다. 심지어 수능 최저 기준을 맞추지 못한 학생들이 대거 탈락하면서, 일부 지방 의대에서는 내신 2점대 학생들이 합격하는 상황 까지 나왔다. 의대는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과다. 그렇기에 의대의 합격선이 변하면 도미노처럼 다른 학과들의 합격선도 무너진다. 연세대·고려대 공대 → 자연계 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빠지며 합격선 하락 치대, 한의대, 약대 → 최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몰리면...

의대 정원, 3058명으로 원점 회귀? – 대학 총장들의 ‘백기투항’인가, 현실적 선택인가

이미지
의대 정원, 3058명으로 원점 회귀? – 대학 총장들의 ‘백기투항’인가, 현실적 선택인가 최근 의과대학 총장들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는 방안에 동의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5학년도에 정부 주도로 5058명까지 늘렸던 정원이 단 1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정원 조정이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긴장 관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장면 이다. ‘의료개혁’이라는 명분을 내세운 정부와 ‘정원 증원 철회’를 주장하는 의사단체의 대립 속에서, 대학 총장들은 어떤 입장일까? 의대 정원, 왜 다시 줄어드나? 정부는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는 정책을 발표 했다. 그러나 의료계는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졸속 정책”이라며 반발했고, 의대생들까지 수업 거부 및 휴학 선언을 하며 대규모 항의에 나섰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지역 의료 격차 해소, 필수 의료 강화를 위한 의사 배출이 가능 하다는 것이 정부의 논리였다. 하지만 의료계는 “정원을 늘린다고 의료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 의료 환경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번 결정은 결국 대학 총장들이 의대 학장들과 의료계의 요구를 수용한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학 총장들의 선택, 백기투항인가? 일각에서는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의 강경한 수업 거부에 밀려 백기투항한 것 아니냐 는 비판이 나온다. 의대 신입생뿐만 아니라 24학번 학생들까지 단체로 휴학을 결정하면서, 실제로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상황 이 됐다. 대학 총장들은 교육 정상화가 시급 하다고 판단해, 정부가 추진한 ‘정원 증원’ 정책을 철회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게 된 것 이다. 즉, 현실적으로 ‘의대생들의 복귀’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된 셈이다. 의대 정원 조정, 누구를 위한 결정인가? 하지만 이 결정이 단순히 대학 측의 항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학들은 이미 늘어난 정원에 맞춰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