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도 줄인다’… 교육비 4년 만에 감소한 이유는?
‘학원도 줄인다’… 교육비 4년 만에 감소한 이유는? 한때는 ‘교육비는 줄일 수 없는 필수 지출’이라는 말이 있었다. 아이의 미래를 위해 부모는 밥 한 끼를 굶어도 학원비만큼은 손대지 않는 것이 우리 사회의 암묵적 약속이었다. 그런데, 그 약속이 이제는 흔들리고 있다. 1. 교육비, 왜 줄었을까? 올해 1월, 신용카드 승인 실적에서 교육서비스업(즉, 학원, 유치원, 정규 교육기관, 직업훈련학원 등)의 카드 매출이 전년 대비 5.5% 감소 했다. 이 수치는 무척이나 이례적이다. 왜냐하면, 교육비는 흔히 ‘가계 소비의 최후의 보루’라고 불릴 만큼 가정 경제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지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학원비가 줄었다는 것은 소비 심리가 꽁꽁 얼어붙었다는 신호 다.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교육비가 줄어든 것이다. 경제가 어려운 것은 알았지만, 부모들이 아이의 미래를 위해 쥐고 있던 마지막 끈마저 놓아버렸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남다르다. 2. 아이들의 ‘미래’보다 당장의 ‘현재’가 중요해진 부모들 ‘교육비 감소’는 단순한 경제 지표가 아니다. 이것은 부모들의 의식 변화와도 직결된다. 이전까지 부모들은 아이의 미래를 위한 투자 로 학원비를 부담했다. "지금 힘들어도, 아이가 잘되면 나중에 보상받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 믿음이 흔들리고 있다. 학원보다 중요한 생존: 물가는 치솟고, 소득은 제자리다. 당장의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급선무가 되었다. 교육의 가치 변화: AI 시대, 정보의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학원 없이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다"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다. 학벌 중심 사회의 균열: 과거처럼 ‘명문대’가 인생을 보장하는 시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무리한 학원비 투자를 줄이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3. 교육업계, ‘위기’ 혹은 ‘전환점’? 학원 업계는 이번 통계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바라볼까? 아니면 이 흐름을 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