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3058명으로 원점 회귀? – 대학 총장들의 ‘백기투항’인가, 현실적 선택인가
의대 정원, 3058명으로 원점 회귀? – 대학 총장들의 ‘백기투항’인가, 현실적 선택인가 최근 의과대학 총장들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는 방안에 동의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5학년도에 정부 주도로 5058명까지 늘렸던 정원이 단 1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정원 조정이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긴장 관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장면 이다. ‘의료개혁’이라는 명분을 내세운 정부와 ‘정원 증원 철회’를 주장하는 의사단체의 대립 속에서, 대학 총장들은 어떤 입장일까? 의대 정원, 왜 다시 줄어드나? 정부는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는 정책을 발표 했다. 그러나 의료계는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졸속 정책”이라며 반발했고, 의대생들까지 수업 거부 및 휴학 선언을 하며 대규모 항의에 나섰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지역 의료 격차 해소, 필수 의료 강화를 위한 의사 배출이 가능 하다는 것이 정부의 논리였다. 하지만 의료계는 “정원을 늘린다고 의료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 의료 환경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번 결정은 결국 대학 총장들이 의대 학장들과 의료계의 요구를 수용한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학 총장들의 선택, 백기투항인가? 일각에서는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의 강경한 수업 거부에 밀려 백기투항한 것 아니냐 는 비판이 나온다. 의대 신입생뿐만 아니라 24학번 학생들까지 단체로 휴학을 결정하면서, 실제로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상황 이 됐다. 대학 총장들은 교육 정상화가 시급 하다고 판단해, 정부가 추진한 ‘정원 증원’ 정책을 철회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게 된 것 이다. 즉, 현실적으로 ‘의대생들의 복귀’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된 셈이다. 의대 정원 조정, 누구를 위한 결정인가? 하지만 이 결정이 단순히 대학 측의 항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대학들은 이미 늘어난 정원에 맞춰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