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대한민국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입시 지옥, 그리고 잃어버린 꿈 어릴 적, 나에게 학교란 신기한 공간이었다. 커다란 책상, 알록달록한 칠판, 그리고 매일같이 배우는 새로운 것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학교는 더 이상 ‘배움’의 공간이 아니었다. 문제집의 페이지 수로 경쟁하는 전쟁터가 되었고, 성적표가 인생의 성패를 결정하는 심판서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교육은 분명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올바른 방향일까?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시간이다. 1. 우리는 왜 이렇게 ‘암기 기계’가 되었을까? 수학 공식, 영어 단어, 사회 개념… 우리는 수없이 많은 정보를 머릿속에 욱여넣는다. 시험을 치르고, 점수를 받고, 다시 잊어버린다. 그리고 이 과정을 12년간 반복한다. 정작 중요한 것은 묻지 않는다. “이 문제의 답이 뭐야?” “이 공식은 외웠어?” “왜 이렇게 성적이 떨어졌어?” 하지만 아무도 묻지 않는다. “왜 그렇게 생각해?” “너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어?” “이 문제를 네가 풀어낸 과정이 궁금해.” 우리의 교육은 오직 ‘정답’을 강요한다. 창의적인 사고, 문제 해결력, 논리적인 사고는 뒷전이다.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순간, 어른들은 말한다. “그런 거 생각할 시간 없어. 일단 외워.” 대한민국의 교육은 암기하는 법은 가르쳤지만, 생각하는 법은 가르쳐주지 않았다. 2. 대학 서열, 그리고 ‘SKY’라는 이름의 감옥 수능이 끝나면 모든 것이 끝날 것 같았다. 하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이 사회는 우리에게 또 다른 잣대를 들이민다. “어느 대학 나왔어?” 서울대, 연고대를 가면 성공한 인생. 그 외의 대학은 ‘대충 공부한 사람’이라는 낙인. 우리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계급’을 선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누군가는 말한다. “좋은 대학 가면 좋은 직장 가잖아.” 맞다. 하지만 좋은 대학이 아니라면? 그럼 우리는 ‘좋지 않은 인생’을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