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한민국교육인 게시물 표시

대한민국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이미지
대한민국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입시 지옥, 그리고 잃어버린 꿈 어릴 적, 나에게 학교란 신기한 공간이었다. 커다란 책상, 알록달록한 칠판, 그리고 매일같이 배우는 새로운 것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학교는 더 이상 ‘배움’의 공간이 아니었다. 문제집의 페이지 수로 경쟁하는 전쟁터가 되었고, 성적표가 인생의 성패를 결정하는 심판서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교육은 분명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올바른 방향일까?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시간이다. 1. 우리는 왜 이렇게 ‘암기 기계’가 되었을까? 수학 공식, 영어 단어, 사회 개념… 우리는 수없이 많은 정보를 머릿속에 욱여넣는다. 시험을 치르고, 점수를 받고, 다시 잊어버린다. 그리고 이 과정을 12년간 반복한다. 정작 중요한 것은 묻지 않는다. “이 문제의 답이 뭐야?” “이 공식은 외웠어?” “왜 이렇게 성적이 떨어졌어?” 하지만 아무도 묻지 않는다. “왜 그렇게 생각해?” “너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어?” “이 문제를 네가 풀어낸 과정이 궁금해.” 우리의 교육은 오직 ‘정답’을 강요한다. 창의적인 사고, 문제 해결력, 논리적인 사고는 뒷전이다.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순간, 어른들은 말한다. “그런 거 생각할 시간 없어. 일단 외워.” 대한민국의 교육은 암기하는 법은 가르쳤지만, 생각하는 법은 가르쳐주지 않았다. 2. 대학 서열, 그리고 ‘SKY’라는 이름의 감옥 수능이 끝나면 모든 것이 끝날 것 같았다. 하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이 사회는 우리에게 또 다른 잣대를 들이민다. “어느 대학 나왔어?” 서울대, 연고대를 가면 성공한 인생. 그 외의 대학은 ‘대충 공부한 사람’이라는 낙인. 우리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계급’을 선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누군가는 말한다. “좋은 대학 가면 좋은 직장 가잖아.” 맞다. 하지만 좋은 대학이 아니라면? 그럼 우리는 ‘좋지 않은 인생’을 살...

소크라테스가 대한민국 교육을 바라본다면?

이미지
소크라테스가 대한민국 교육을 바라본다면? “너 자신을 알라.” 그러나, 우리는 정말 우리 자신을 알고 있는가? 1. 소크라테스가 오늘날 한국 교육을 본다면? 고대 아테네에서 철학을 논하던 소크라테스가 2025년 대한민국의 교실에 나타났다면 어떤 말을 했을까? 아마도 그는 학생들에게 먼저 이런 질문을 던졌을 것이다. "너희는 스스로 생각하는가, 아니면 누군가가 정해준 길을 그저 따라가고 있는가?" 대한민국 교육은 철저히 ‘정답’을 향해 달려가는 구조다. 초등학교 때부터 “틀리면 안 돼”라는 강박을 배우고, 중학교에 가면 “모두가 가는 길이 정답”이라는 분위기 속에 익숙해진다. 고등학교에 오면 “대학 서열이 곧 인생 서열”이라는 말이 현실이 된다. 만약 소크라테스가 이 모습을 본다면, 아마도 깊은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말하지 않을까? “정답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질문을 던지는 법을 배워야 한다.” 2. 대한민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 – 질문이 사라진 교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철학이 ‘삶을 위한 학문’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교육에서 ‘삶’에 대한 고민은 사치에 불과하다. 우리는 왜 공부하는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그럼 왜 좋은 대학을 가야 하는가?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 그럼 왜 좋은 직장을 얻어야 하는가? … 이쯤 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답을 하지 못한다. 누군가에게 ‘옳다고 배운 길’을 그대로 따라가면서도, 그 길의 목적을 모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지적할 것이다. 1) 생각이 아닌 암기의 교육 학교는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를 가르쳐야 하지만, 오히려 ‘주어진 질문에 정해진 답을 맞히는 법’만을 가르친다. “너희는 답을 맞히기 위해 공부하는가? 아니면 진리를 찾기 위해 공부하는가?” 수능을 위한 공부, 내신을 위한 공부, 학종을 위한 공부… 모든 공부는 ‘대학 입학’이라는 한 가지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그리고 대학에 ...

맹모삼천지교? 하지만 맹자가 아닐 수도 있다

이미지
  맹모삼천지교? 하지만 맹자가 아닐 수도 있다 – 사교육 1번지 대치동을 떠난 입시전문가의 일침 “엄마, 나 대치동 갈래!” 이 말이 대한민국 학부모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치동은 그야말로 입시의 성지(聖地) , 수능 전사들이 문제집과의 전투를 치르는 격전지다. 하지만 여기, 대치동에서 벗어나 충북 증평으로 떠난 입시 전문가 가 있다. 심정섭 소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대치동의 사교육 열풍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라는 말을 언급하며, “맹모삼천지교가 효과를 내려면 아이가 맹자여야 한다” 라는 촌철살인의 한마디를 남겼다. 즉, 아무리 좋은 학군으로 이사를 가도, 정작 아이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의미가 없다는 것 이다. 이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대치동, 목동, 대구 수성구… 이런 학군지들이 입시에서 압도적인 결과를 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사만 간다고 성공이 보장될까? 오늘은 대치동 사교육 열풍의 현실과, 과연 이 방식이 ‘정답’인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해 보려 한다. 1. ‘7세 고시’와 ‘4세 고시’, 그 끝은 어디인가? 대치동에서는 ‘7세 고시’, ‘4세 고시’라는 말이 있다. ✅ 7세 때부터 초등학교 수준의 학습을 마쳐야 하고, ✅ 4세 때부터 한글과 영어를 떼야 하며, ✅ 유치원 때 수학학원, 영어학원, 운동학원을 병행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런 교육 방식이 효과적일까? 심 소장은 “빨리하는 것보다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양적 선행’보다는 ‘질적 몰입’이 중요하다. ✔️ 단순히 중학교 과정을 앞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한 과목을 깊이 탐구하는 것이 입시에 더 유리하다. 그렇다면 왜 학부모들은 여전히 아이를 ‘선행’ 경쟁에 밀어넣을까? 결국, 입시는 상대평가이기 때문이다. 남들이 5학년 때 중학교 수학을 시작하면, 우리 아이도 해야 할 것 같고, 남들이 영어 원어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