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지원, 이것만은 피하자! – 흔한 실수와 대처법
수시 지원, 이것만은 피하자! – 흔한 실수와 대처법 “이렇게 쓰면 망한다!” 매년 수험생들은 수시 지원을 앞두고 고민에 빠진다. 전략적으로 6장을 채워야 하는데, 어떤 식으로 조합해야 할지 막막하다. 문제는 많은 학생들이 비슷한 실수를 반복한다는 점이다. 오늘은 수시 지원에서 절대 피해야 할 흔한 실수와 그 해결책을 짚어본다. 1. “수시 6장, 이렇게 쓰면 낭패 본다!” 수험생들은 ‘안정·적정·상향 지원’을 기본 공식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 균형을 맞추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6장 모두 불합격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① 과도한 ‘올인 전략’ ❌ “나는 이 학교 아니면 안 가!” 한 학교에만 과하게 집착하여 전형을 몰아서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특정 대학을 목표로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적성 등 여러 전형에 동시에 지원 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같은 대학이라도 전형마다 평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 해결책: 1) 전형별 강점을 분석한다. (예: 내신이 강하면 학생부교과, 활동이 많다면 학생부종합) 2) 같은 대학이라도 최소한 한두 개는 다른 학교로 분산 지원한다. ② ‘묻지마 지원’으로 기회를 날리는 경우 ❌ “이름 있는 대학이면 어디든 OK!” 단순히 대학의 네임밸류만 보고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막상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전형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불합격하는 일이 발생한다. ✅ 해결책: 1) 대학의 전형 방법과 나의 강점이 맞는지 분석한다. 2)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2. “지원 대학, 너무 많이 바꾸는 게 문제일까?” 수시 지원 직전까지 마음이 바뀌는 경우가 많다. 주변에서 “이 학교 경쟁률 낮더라” 혹은 “이 대학이 더 안정적일 것 같아”라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 대학을 바꾸는 것이다. ① 남들이 말하는 ‘뜬소문’에 휘둘리는 경우 ❌ “이 학교 경쟁률 낮으니까 붙겠지?” 경쟁률이 낮다는 이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