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내신5등급제인 게시물 표시

2028 대입, 평가정보 반영 – 우리가 마주한 변화와 대응 과제

이미지
2028 대입, 평가정보 반영 – 우리가 마주한 변화와 대응 과제 고1 학생들, 그리고 학부모님들, 이번 대입 변화 소식에 깜짝 놀라셨나요? 2028학년도 대입부터 학교의 과목별 평가정보 가 대입 전형 자료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이제는 단순한 원점수나 등급이 아니라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비중, 평가 영역명, 성취도별 분할점수 까지 대학이 들여다본다는 것이죠. 대학 입장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자료가 생긴 셈이지만,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들에게는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습니다.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이제 그 이유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표준편차'가 사라졌다 – 변별력 확보의 필요성 현재 고1부터 내신 등급 체계가 9등급에서 5등급으로 개편 됩니다. 이제 1등급(10%), 2등급(24%), 3등급(32%), 4등급(24%), 5등급(10%)으로 나뉘죠. 이 말은 곧 상위권 변별이 더욱 어려워진다 는 의미입니다. 게다가 고2, 고3이 되면서 일부 과목의 수강 인원이 줄어들면, 1등급 비율이 10%라 하더라도 한 반에서 단 1~2명 만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학은 무엇을 보고 학생을 평가해야 할까요? 바로 성취도별 분할점수를 통해 학생의 학업 수준을 유추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 고등학교: 수행평가 비중이 높고, 시험이 쉬워 원점수 98점 B 고등학교: 지필평가 비중이 높고, 시험이 어려워 원점수 87점 그런데 두 학교의 원점수만 본다면 A 학생이 더 우수해 보이겠죠? 하지만 정작 대학이 원하는 건 "이 학생이 실제로 어느 정도의 학업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입니다. 그래서 평가 비중과 성취도별 분포를 보며 학생을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는 것입니다. 또한, 평가 영역을 통해 수업에서 어떤 활동이 이루어졌는지 유추 하고,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기록과 비교하여 학생의 탐구 역량과 주도성을 검증 하...

2028 대입 개편, 고1 학생들의 혼란과 대비 전략

이미지
2028 대입 개편, 고1 학생들의 혼란과 대비 전략 2028학년도 대입 개편이 발표된 이후, 현재 고1 학생들과 담임 선생님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기존의 입시 흐름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수능 체계가 바뀌고, 내신 평가 방식도 대대적으로 개편되면서 수험생들은 사상 초유의 ‘기출문제 없는 입시’를 준비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2028학년도 대입 개편의 주요 변화와 현재 고1 학생들이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 2028학년도 대입, 무엇이 달라지나? ✅ 1. 통합형 수능, 선택과목 폐지 기존의 국어·수학·사회·과학탐구에서 선택과목이 폐지되고, 모든 학생이 동일한 과목을 응시해야 한다. 통합사회, 통합과학이 필수 과목이 되고, 수능에서도 출제된다. 하지만 이 과목들은 1학년 과정이므로 2~3학년 동안 학생들이 심화 학습을 할 시간이 부족하다. ✅ 2. 학생부 내신 평가 방식 변화 (절대+상대평가 혼합) 내신 등급이 기존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바뀌며, 모든 과목이 절대평가(A5등급)로 병행 표기된다. 특히 사회·과학 융합과목은 상대평가를 적용하지 않아 내신 변별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 3. 정시 준비, 기출문제 없음 2028학년도 대입을 치르는 현재 고1 학생들은 기존 수능 체계와 전혀 다른 시험을 응시해야 한다. 즉, 기출문제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수능을 준비해야 한다는 부담이 크다. ✅ 4. 수시 전략 수립이 더욱 어려워짐 현재 고1 학생들은 기존 수시 전형을 참고할 수도 없다. 수능 체계가 바뀌면 대학별 정시·수시 비율도 달라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과거 입결 자료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어, 지원 전략 수립이 훨씬 어려워질 전망이다. 🤔 2028학년도 대입, 문제점은? 대입 개편안은 "공정성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 📍 1. 학생들의 학습 부담 증가 통합사회·통합과학이 1학...

2025학년도 고1 내신 5등급제와 대학 변별력 평가 변화 분석

이미지
2025학년도 고1 내신 5등급제와 대학 변별력 평가 변화 분석 내신 5등급제 도입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가운데, 대학 변별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내신 5등급제는 내신 9등급제보다 변별력이 낮은가? ➡ "낮을 가능성이 크다." [이유] 변별력의 핵심은 등급 간 구분의 세밀함이다. 9등급제에서는 학생을 9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었으나, 5등급제에서는 5단계로만 나누게 됨. 즉, 같은 성취도를 받는 학생들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대학이 학생을 세밀하게 구분하기 어려워질 수 있음. 예를 들어, 기존 1~2등급이 5등급제에서는 A로 묶일 가능성이 높아, 최상위권 변별이 더욱 어려워질 것 . 대학이 원점수와 성취도 분포를 함께 참고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순 성취도(A/B/C)만으로 변별이 어렵다면, 원점수와 성취도(A 비율)도 함께 평가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큼. [결론] ✅ 5등급제는 9등급제보다 변별력이 낮을 가능성이 크다. ✅ 특히 A 비율이 증가하면 상위권 변별력이 더 낮아질 수 있다. 2. 대학은 등급(A/B/C)뿐만 아니라 '성취도(A 비율)'도 볼 것인가? ➡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이유] 단순 등급(A/B/C)만으로 변별이 어려우면 대학이 원점수나 성취도(A 비율)를 참고할 가능성이 큼. 현재도 일부 대학에서는 고교별 내신 분포(과목별 A 비율)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음. "A를 받은 학생이 전체의 몇 %"인지 중요해질 수 있음. 특정 과목에서 A를 받은 학생이 90% 이상이면 A의 가치가 낮아질 것 . 반대로 A가 30% 이하라면, 해당 학생의 A는 더욱 의미 있는 성취도로 해석될 가능성이 큼 . 대입 평가에서 변별력을 유지하기 위해 원점수, 성취도 비율 등을 참고하는 방식이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음. [결론] ✅ 대학은 단순 등급(A/B/C)만 보지 않고,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