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동체역량인 게시물 표시

봉사활동, 대학 입시에서 정말 중요할까? - 고려대의 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이미지
봉사활동, 대학 입시에서 정말 중요할까? - 고려대의 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봉사활동, 얼마나 해야 합격할 수 있나요?”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면 십중팔구는 대답한다. "그거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출결사항과 봉사활동. 대학 입시에서 학생들이 가장 신경 쓰지 않는 두 가지 항목이다. 출결은 크게 문제 될 게 없지만, 봉사활동은 과연 그럴까? 많은 학생들이 "시간만 채우면 된다." 혹은 "어차피 정성평가니까 대충 써도 된다." 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고려대의 입학설명회 자료를 보면, 봉사활동에 대한 평가 기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오늘은 ‘대학에서 봉사활동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 특히 고려대의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그 진실을 파헤쳐 보겠다. 1. 봉사시간 많으면 유리할까? - "정량적 기준은 없다." 입시에서 정량적 평가(숫자로 판단하는 방식) 는 언제나 명확하다. 하지만 봉사활동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서는 정량적 기준이 없다. ✔ 봉사시간이 많다고 해서 유리한 것이 아니다. ✔ 봉사시간이 적다고 해서 불리한 것도 아니다. 흔히 ‘다다익선’(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이라고 생각하지만, 대학은 단순히 시간을 보고 평가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얼마나 하면 적당할까? 고려대는 ‘소속고교 평균’ 을 기준으로 삼는다. 즉, 다른 친구들과 비교해서 적절한 수준인지 를 보는 것이다. 만약 내 봉사시간이 평균보다 터무니없이 적다면? 대학은 학생부의 다른 내용과 모순점을 찾으려 한다. 예를 들어, "이 학생은 공동체에 대한 배려심이 뛰어나다" 라는 내용이 적혀 있는데, 봉사시간이 평균보다 현저히 적다면? "정말 그런가?" 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즉, 봉사시간이 절대적인 평가 요소는 아니지만, 신뢰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